함평만의 유입오염부하량 및 물질수지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ㆍ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22권 / 1호
ㆍ저자명 : 김종구, 장효상
ㆍ저자명 : 김종구, 장효상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함평만의 육상기인오염 물질의 유입특성을 파악하고, 물질순환을 정량화하기 위해, Simple box model을 적용하였다. 함평만의 하천 유입 오염부하 특성을 보면, BOD, COD, TOC의 평균 유기물질 오염부하가 각각 79.7 kg-BOD/day, 144.06 kg-COD/day, 93.0 kg-TOC/day를 나타내었다. 하천별 유기물 유입 오염부하량은 손불 방조제>주포교>양만단지 순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하계 강우시기인 7월에 높은 부하 특성을 보였다. 영양염류의 평균 유입 오염부하는 각각 20.9 kg-DIN/day, 17.1 kg-DIP/day, 148 kg-TN/day, 37.4 kg-TP/day를 나타내었다. 하천별 영양염 유입부하량은 양만단지>백옥교>주포교 순으로 나타났다. 박스모델을 이용한 함평만 물질수지에서 담수체류시간은 52.4일로 해수교환이 낮은 반 폐쇄성 해역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영양염 물질수지에서 용존 무기질소의 경우 △DIN이 (-)의 탈질상태를 나타내어 유입된 질소보다 광합성에 의한 소비 및 외해 유출이 큰 경향을 보였다. 용존 무기인의 경우 △DIP가 (+)를 나타내어 유기물 분해에 의한 공급, 퇴적물의 용출부하, 하천 유입부하가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소비 및 외해 유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다.영어 초록
In this paper, an analysis of the inflowing pollution load of the rivers in Hampyeong bay showed the average organic matter pollution loads of BOD, COD, and TOC to be 79.7 kg-BOD/day, 144.06 kg-COD/day, and 93.0 kg-TOC/day, respectively. The inflowing organic matter pollution load was the heaviest in Sonbul dike, followed by Jupo bridge and Yangman complex. With regard to season, the load characteristics were outstanding in July, the rainy period in the summer. The average inflowing pollution loads of nutrients were 20.9 kg-DIN/day, 17.1 kg-DIP/day, 148 kg-TN/day, and 37.4 kg-TP/day A comparison of the inflowing nutrients loads for each river showed the load to be the heaviest in Yangman complex, followed by Baegok bridge and Jupo bridge. In the experiment on the material budgets of Hampyeong bridge conducted using a box model, the detention time of fresh water was found to be 52.4 days, with the bay displa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o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in the nutrients material budgets, △DIN values were found to be negative, indicating the tendency of consumption and open sea leak by photosynthesis to be higher than the nitrogen that flowed in. As for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DIP showed positive values, indicating a tendency for accumulation as the supply through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elution load of sediments, and inflowing load of the river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e consumption by phytoplankton and outflow to open sea.참고 자료
없음태그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
- Temperature Variabilities at Upper Layer in the Korean ..7페이지
- Ti 합금의 용체화열처리와 시효열처리에 따른 부식거동7페이지
- 선체운동 예측을 이용한 Dynamic Positioning System의 피드포워드 제어 알고리즘에..9페이지
- A Study on the Hydrodynamic Effect of Biofouling on Mar..6페이지
- 축척비가 문풀 내부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5페이지
- MRV 규제 대응을 위한 국제해운 에너지 효율 포탈 시스템 개념 설계10페이지
- 선박조우 상황별 항해당직자의 충돌위기체감지수에 관한 연구10페이지
- 선박 연료유 잔존량 추정모델을 이용한 침몰선박 위해도 평가8페이지
- Wave Response Analysis for Pontoon-type Pier: Very Larg..8페이지
- 선내 정전조건에서 승선환경 비숙련자의 이동특성 실험 연구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