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올빼미 번식기 추적 조사 및 서식지 연구- 첫 추적조사 사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0권 / 6호
ㆍ저자명 : 김우열, 최원석, 박종철, 성하철
ㆍ저자명 : 김우열, 최원석, 박종철, 성하철
목차
서 론연구방법
1. 포획 및 추적조사
2. 서식지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포획결과
2. 추적결과
3. 서식지 분석결과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실질적인 행동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2016년 4월 14일~5월 20일까지 번식기 육추시기에 약 한달 간 진행했다. 그 결과 경북 일대에서 전장(Total Length) 423.5㎜ 와 무게 550g 의 암컷 1개체를 포획하였고 우리나라 최초로 추적에 성공했으며 직접관찰과 위성추적 관찰 좌표 6지점을 획득 하였다. 가장 먼 지점의 거리는 둥지로부터 93m의 이격 거리였다. 그리고 육추시기에 약 100m 반경에 대한 서식지 분석결과 밭 34.2%, 혼효림 30.6%, 과수원 10.5%, 자연초지 9.4% 순의로 토지피복도 우점 순위가 나타났다. 이는 이전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결과로 향후 수컷 또는 다른 개체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보호와 보전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을 기대한다.영어 초록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rix aluco, which i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category II species. Towards this, we identified the actual home range of Strix aluco that breed in Korea, and collected the data necessary for protecting, preserving and managing owl popul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4 to May 20 of 2016 during the breeding season of Strix aluco as part of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e captured and subsequently released a female owl with a total length of 423.5㎜and a weight of 550g in Kyungbuk area, succeeded in tracking i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secured 6 points of direct observation and satellite tracking observation. The distance from the nest to the farthest point was 93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abitat points within a100m-radius during breeding period, it was established that their habitat consists of 34.2% of non-irrigated land, 30.6% of mixed forest land, 10.5% of orchard, and 9.4% of natural grassland.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estimate of home range studies. Further research based on follow-up studies on males or other individuals is required to develop a stronger basis for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endangered wildlife class II owl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
- 멸종위기야생식물인 갯봄맞이꽃(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23페이지
- 치유의 숲길 해설판이 이용객의 회복환경 및 전반적 치유효과 지각에 미치는 효과: 플라시보 효과의 적..10페이지
- 봉화군 장군봉 일대 천연림과 인공조림지내 현존식생의 임분구조15페이지
- 탐방객 방문 동기 분석을 통한 선운산도립공원 관리 방안10페이지
- 한국 변산반도암반생물막의생물량과 군집구조의계절 변화13페이지
-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의 생물종 다양성, 구조 다양성과 지상부 생물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10페이지
- 금강 대권역 대표 멸종위기 담수어류의 분포 특성 및 이화학적 수질-하천 생태건강도와의 관계분석10페이지
-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13페이지
- 멸종위기 종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동면 여부에 따른 기초 번식생리의 계절적 ..9페이지
- 등갑에 나타난 성장선에 근거한 멸종위기 종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연령예측 가..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