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기반 페리다이나믹 모델에 의한 동적취성파괴 해석: 평면응력 탄성체의 응력 전파와 균열패턴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 28권 / 3호
ㆍ저자명 : 하윤도
ㆍ저자명 : 하윤도
한국어 초록
상태 기반 페리다이나믹 모델은 일반적인 재료 구성 모델을 구현할 수 있고 비국부 영역 내에서 연결된 모든 결합의 변형을 통해 각 절점의 재료 응답이 결정되기 때문에 체적 및 전단 변형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태 기반 모델은 복잡한 동적 취성 파괴 현상(분기균열, 2차 균열, 계단균열, 균열 유착 등)을 해석하는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평면응력 탄성체에 대해 2차원 상태 기반 페리다이나믹 모델을 적용하고 에너지해방율과 페리다이나믹 에너지 포텐셜로부터 손상 모델을 구성하였다. 페리다이나믹 파괴 해석 모델을 통해 취성 유리 재료에 대해 균열 면에 평행한 압축 응력파가 균열 분기 패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을 통해 관찰된 동적 균열 진전 및 분기 패턴에 대한 주요 특성들이 페리다이나믹 해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또한 강한 인장 하중 하의 계단균열과 이차균열 등이 상태 기반 페리다이나믹 시뮬레이션을 통해 잘 모사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영어 초록
A state-based peridynamic model is able to describe a general constitutive model from the standard continuum theory. The response of a material at a point is dependent on the deformation of all bonds connected to the point within the nonlocal horizon region. Therefore, the state-based peridynamic model permits both the volume and shear changes of the material which is promising to reproduce the complicated dynamic brittle fracture phenomena, such as crack branching, secondary cracks, cascade cracks, crack coalescence, etc. In this paper, the two-dimensional state-based peridynamic model for a linear elastic plane stress solid is employed. The damage model incorporates the energy release rate and the peridynamic energy potential. For brittle glass materials, the impact of the crack-parallel compressive stress waves on the crack branching pattern is investigated. The peridynamic solution for this problem captures the main features, observed experimentally, of dynamic crack propagation and branching. Cascade cracks under strong tensile loading and secondary cracks are also well reproduced with the state-based peridynamic simulation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포스트텐션 정착구 형상 변수의 정착부 극한강도 영향 분석8페이지
열교차단장치가 적용된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휨거동 예측을 위한 해석모델9페이지
저층 조적채움벽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내진보강 전후 동특성 변화8페이지
평면응력 문제의 상태 기반 페리다이나믹 동적파괴 해석 모델링7페이지
내부압력, 열하중 및 외부하중을 고려한 노즐의 2차원 및 3차원 해석 비교9페이지
GFRP 판을 전단보강재로 사용한 넓은 보의 전단성능 평가8페이지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동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변전압측정 시스템 개발7페이지
불균형력에 따른 철골보통중심가새골조의 붕괴모드9페이지
유공형 강판으로 전단보강된 넓은 보에서의 횡방향 보강 간격에 따른 전단성능 평가8페이지
기기의 지진취약도 평가를 위한 구조물 비탄성구조응답계수의 재평가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