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LB항과 부산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 비용부담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ㆍ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16권 / 2호
ㆍ저자명 : 조동오
ㆍ저자명 : 조동오
한국어 초록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항만으로부터의 탄소배출량이 상당량에 이르고 이의 억제를 위한 노력이 LA/LB(Los Angeles/Long Beach)항만을 중심으로 선진항만에서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Green Port 전략의 일환으로 부산항에서 저탄소 항만운영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저탄소 항만운영은 단기적으로 항만비용을 증가시켜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부산항의 경우 저탄소 항만운영으로 인한 비용을 항만이용자에게 부담시키지 않고 항만당국이 저탄소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반면 LA/LB의 경우 저탄소 항만운영의 비용을 선주 및 화주 등 항만이용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과 LA/LB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분석을 통해 부산항의 지속가능한 항만운영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영어 초록
In the midst of worldwide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advanced ports including LA/LB(Los Angeles/Long Beach) has started to reduce carbon emission from port area which has not been targets of interests in the worldwide cooperation. Recently, the Port of Busan has started to reduce carbon emission from the port area under the Green Port Strategy in Korea. However, the low-carbon port management increases the cost of port management and negatively impacts the port competitiveness in the short term. Therefore, the Busan Port Authority is carrying out the low-carbon projects directly and has not transfer the cost to the port users, such as shipowers, cargo owners and terminal operators. However, the Port Authority of LA/LB has transferred the cost at low-carbon port management to customers of port.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on cost of low-carbon port management at Busan and LA/LB is carried out for sustainable port management.참고 자료
없음태그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
백열전구 대체용 7w급 LED 램프의 드라이버 설계6페이지
육상전력 사용에 따른 정박중인 선박의 CO2 배출 및 운항비용 절감에 관한 연구6페이지
한국의 공적원조를 위한 인도네시아 아체 지역의 어선 안전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7페이지
울산항 접근수역의 항로지정에 관한 연구6페이지
항해사의 피로가 해양사고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7페이지
인터넷 기반의 해상교통관제사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연구6페이지
파랑변형 및 해빈류에 대한 Boussinesq 모형의 적용성 검토9페이지
고흥 남성리 패류양식장의 지형 구조와 저서생물 현장 조사9페이지
부산-김해 강우조건이 낙동강 유역 하구둑 실방류량에 미치는 영향6페이지
낙동강 하구 주요 연안사주에서 표층표사의 시.공간적 변화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