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자원보호구역 관리체제 구축을 위한 어장환경 예비진단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ㆍ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15권 / 2호
ㆍ저자명 : 이대인, 박달수, 전경암, 엄기혁, 박종수, 김귀영
ㆍ저자명 : 이대인, 박달수, 전경암, 엄기혁, 박종수, 김귀영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수산자원보호구역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방향에 대한 정책수립 지원라 체계적인 어장환경실태조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진단적 연구접근으로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 계절별로 장기적으로 모니터링된 국가해양환경측정망 등의 자료를 이용해서 어장환경의 실태와 변화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어장환경은 오염이 진행되었거나 진행 중인 것으로 진단되었는데, 각 영역별로 수질과 저질 오염특성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서 오염원과 이용실태 및 지형적 특성 등 제반 환경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수질관리방안 수립이 요구되었다. 또한, 보호구역의 지정면적은 점차적으로 변화되어 왔는데, 2003년도와 처음 시정시의 면적을 비교해 볼 때, 총 면적변화는 -22.9~2.4% 범위로 완도 도암만은 약 2.4% 정도 미미한 증가를 보였지만, 전체 구역은 평균 약 6.4%가 감소하였고, 한산만이 가장 큰 비율로 감소하였다. 전체 면적 중 육역이 약 6.1%, 해역이 약 6.6%가 감소되었지만, 2008년 시 군별로 고시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지정면적의 감소는 대부분 육역인 것으로 사료 되었다. 보호구역의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효과적인 관리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실효적인 수질관리방안 뿐만 아니라 개발 및 이용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와 데이터(정보)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해역별로 종합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각종 관련 법률을 정비 보완해서 조사, 평가, 협의 등 관리방향과 관련된 요소를 일관성있고 체계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영어 초록
For preliminary diagnosis on current fishing ground environment and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and rational management policy in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 water and sediment quality and changes of total area in the 10 marine protection areas designated for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in Korea were assessed. Results showed that environmental quality in these areas has been degraded by pollution sources, coastal utilization and development stress, etc. The pattern and degree of contamination differed by protection areas,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for optimum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total designated area of protection areas in 2003 changed by -22.9~2.4%, on average -6.4%, compared with the first year of designation; Wando-Doam Bay showd the highest increase rate (2.4%), and Hansan Bay has the highest decrease rate (-22.9%) Decrease rate of land and sea in total area showd 6.1% and 6.6%. An integrate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data in protection areas is required for systematic assessment. Therefore, the suitable environmental and information management is needed specifically considering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conditions of land and sea area Furthermore, bemus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eats the junctions of the protection areas, authorized ministry (MIFAFF) should develope and establish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cedures based on the related law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
- 해수 중의 미량금속 분석을 위한 청결기술의 소개8페이지
- 선박용 팬코일장치 냉각관 주위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6페이지
- 스킨스쿠버다이빙의 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7페이지
- 쇄석미분말을 사용한 해양콘크리트의 고성능화에 관한 연구8페이지
- 묘도-광양간 현수교의 선박충돌 방지공의 위험도 분석 및 안정성 평가7페이지
- 국내 항만횡단 해상교량의 건설 절차 분석 및 개선방안7페이지
- IMO 최근 의제 동향 및 한국의 IMO 활동현황7페이지
-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 제도의 개정에 관한 고찰 - 해양오염방지법과 해양환경관리법의 비교분석을 중심..6페이지
- 진해만 해역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해조류의 군집 구조6페이지
- 생태-유체역학모델을 이용한 아산만 해양수질의 장기 예측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