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독립영양 기내 미세증식시스템에서 광강도 및 CO2 농도에 따른 감자 소식물체 생육분석 및 모델링에 의한 생육단계별 적정 환경조건 설정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ㆍ수록지정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구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18권 / 1호
ㆍ저자명 : 손정익, 이훈, 오명민
ㆍ저자명 : 손정익, 이훈, 오명민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묘의 생육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생육 단계를 임의로 구분하고 각 단계 별 적정 환경 조건을 확립함에 목적을 두었다. 생육 단계는 총 20일의 배양기간을 6일(1단계), 7일(2단계), 7일(3단계)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활착기로서 환경 처리 별 생육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높은 환경 조건에 의한 잎의 장해를 고려하였을 때, 80μmmol·m-2·s-1 의 PPFD 및 대기 중의 CO2 농도가 적합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PPFD 및 CO2 조건이 높아짐에 따라 건물 중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향상되었다. 에너지 효율과 생육을 고려할 때, 160μmmol·m-2·s-1 의 PPFD와 700μmmol·mol-1의 CO2가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PPFD 및 CO2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생육이 향상되었으며, 잎 및 마디의 발달상태도 현저히 향상되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으로 생육증진을 고려할 때, 320μmmol·m-2·s-1 PPFD와 1800μmol·mol-1의 CO2가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생육 단계별 환경 조절은 초기단계에 상대적으로 낮은 조건을 유지하고 후기단계에서 충분한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묘를 생산할 수 있고 에너지 및 물질의 투입량을 절약할 수 있다.영어 초록
Adequate environment conditions with growth stage of potato were decided in a photoautotrophic micropropagation system using models. Total 20 day-period of growth were divided into three growth periods such as 6 (stage 1), 7(stage 2), and 7(stage 3) days. At the 1st stag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growth of potato plantlets at various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and CO2 conditions. Considering damaged leaves, 80 mmol·m-2·s-1 PPFD and ambient CO2 level were adequate in this stage. At the 2nd sta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artly observed in several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dry weight. Based on the dry matter model, over 240 mol·m-2·s-1 PPFD was too high to cultivate potato plantlets at this stage due to the occurrence of damaged leaves. Considering both plant growth and energy efficiency, 160 mol·m-2·s-1 PPFD and 700 mol·mol-1 CO2 were selected for the adequate combination. At the 3rd stage, the biomass accumulation was significantly induced in potato plantlets under higher levels of PPFD and CO2 concentration as suggested by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s. However, we could not find the saturated point with regard to dry matter due to continuous increase of dry mater even under maximum PPFD (320 mmol·m-2·s-1). Thus, 320 mol·m-2·s-1 PPFD and 1800 mol·mol-1 CO2 were considered as the best choice at final stage in this study.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growth period of micropropagated potato plantlets was quite a short,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required at each growth stage were different. This technique could improve the growth of micropropagated plantle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icropropagation and apply to other agriculturally important crops as well as potato in the future.참고 자료
없음"생물환경조절학회지(구 시설원예ㆍ식물공장)"의 다른 논문
- 치커리 종근의 연화 재배 시 잎 제거 정도에 따른 치콘의 품질5페이지
- 제주지역에서 난지형마늘 주아 파종에 의한 종구 생산7페이지
- 곰취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7페이지
-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 나물의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7페이지
- 중부지방에서 플러그 육묘에 의한 춘파 양파 품종의 생육과 저장성9페이지
- 폐암면 혼합 상토를 이용한 수목류 용기묘의 급액 적정 농도5페이지
- 딸기 수경재배에서 NO3-N과 NH4-N의 비율이 '장희(章姬)'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6페이지
- 딸기 고설재배시설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 유지를 위한 방풍막 설치 효과11페이지
- 광독립영양 기내 미세증식 시스템에서 생육단계별 환경조절을 통한 감자의 기내 및 기외 생육과 에너지 ..6페이지
- 폴리올레핀계 필름 장기사용이 참외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