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른 얼굴 표정 읽기의 차이 - 정서읽기와 정서변별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감성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감성과학 / 11권 / 4호
ㆍ저자명 : 태은주, 조경자, 박수진, 한광희, 김혜리
ㆍ저자명 : 태은주, 조경자, 박수진, 한광희, 김혜리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른 정서 인식과 정서 변별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개인의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라 정서 인식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른 정서 인식 정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얼굴제시영역과 정서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과제를 바꾸어 개인의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라 정서 변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얼굴제시영역과 정서 유형에 따른 정서 변별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공감-체계화 유형과 정서유형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는데, 기본정서에서는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른 변별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복합정서에서는 공감-체계화 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정서 인식과 달리 정서 변별에 있어서는 정서 유형에 따라 공감-체계화 유형 간 정확률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정서를 인식하는 것과 변별하는 것이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특성,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이 정서인식과 정서 변별에 서로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영어 초록
Mind reading is an essential part of normal social functioning and empathy plays a key role in social understanding.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dividual differences can have an effect on reading emotions in facial expressions, focusing on empathizing and systemizing.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study 1, participants performed emotion recognition test using facial expressions to investigate how emotion recognition can be different as empathy-systemizing type, facial areas, and emotion type. Study 2 examined how emotion recognition can be different as empathy-systemizing type, facial areas, and emotion type. An emotion discrimination test was used instead, with every other condition the same as in studies 1. Results from study 2 showed mostly same results as study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cial areas and emotion type and also have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acial areas and emotion typ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empathy-systemizing type and emotion type in study 2. That is, how much people empathize and systemize can make difference in emotional discri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mpathy-systemizing type was more appropriate to explain emotion discrimination than emotion recognition.참고 자료
없음태그
"감성과학"의 다른 논문
-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15페이지
- 감성디자인적 접근을 통한 혁신적 포괄적 디자인8페이지
- TDP(time-dependent parameters)를 적용하여 분석한 자율신경계 반응에 의한 감..8페이지
- 비디오 에스노그래피를 이용한 서비스 로봇의 대기상태 행동패턴 연구8페이지
- 증권회사 브랜드에 있어 투자자의 투자성향과 기업의 컬러마케팅의 인과관계 분석 연구14페이지
-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시각장애인과 일반인의 감성 비교10페이지
- 모바일 폰의 인터페이스 변경이 멘탈모델 형성에 미치는 영향14페이지
- Mannitol의 주입 경로와 양 및 농도가 혈-뇌 장벽 손상에 미치는 효과10페이지
- Backster ZCT를 사용한 폴리그라프 검사절차의 일반화가능도: 관련 질문의 개수, 반복측정 횟..12페이지
- 심리학 기반 인공감정모델을 이용한 감정의 시각화 -햄릿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