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ualization of Early Morning Prayer in Korea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ㆍ수록지정보 : 선교신학 / 63권
ㆍ저자명 : SeonYi Lee
ㆍ저자명 : SeonYi Lee
목차
AbstractⅠ. Introduction
II. The Culture of Early Morning Prayer
1. The Beginning of Early Morning Prayer in the KoreanChurch
2. Inculturation of Early Morning Prayer
III. The Theology of Early Morning Prayer
1. Theological Perspectives on Early Morning Prayer
2.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Morning Prayer
IV. Missional Evaluation of Early Morning Prayer
1. Appropriateness of Contextualization
2. Early Morning Prayer as a Model of Contextualization
V. Conclusion
Bibliography
한국어 초록
새벽기도는 한국기독교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서구 선교사에 의해 한국에 복음이 전달되었지만, 한국의 토양에서 새벽기도는 새로운 한국교 회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대부분 한국교회는 오늘날까지 매일 새벽기도 회를 하고 있다. 교회가 세워지는 곳마다 새벽기도회는 정규 시간으로 정해져 있고, 절기마다 특별 새벽기도를 하여 새벽기도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와 실천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새벽기도 문화, 새벽기도 신학을 살펴보고, 상황화 관점에서 선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문화적 접근으로 새벽기도 형성의 역사적, 종교적, 사회적 배경으로부터 그 기원을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과 평양 대부흥운동, 도교와 연관이 있다고 본다. 신학적인 면에서 새벽기도는 한국교인의 영성 훈련과 국난 위기의 극복, 교회부흥의 밑거름이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선교적 관점으로써 새벽기도에 대한 적합한 상황화를 논하며 종교성이 강한 아시아의 바람직한 상황화 모델로서 제안한다.영어 초록
Early morning prayer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Christianity. Although the gospel was delivered to Korea by Western missionaries, early morning prayer is a unique tradition in the Korean churc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ulture and the theology of early morning prayer and to conduct a missiological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ization. On the cultural dimension, the practice of early morning prayer i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ractice’s historical, religious, and social background. On the theological dimension, dawn prayer was connected to Korean church revival and provided the impetus for evangelism,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and world mission. This study discusses its cultural and theological suitability and considers a more appropriate model of contextualization. Appropriate contextualization of early morning prayer also provides implications for mission in other Asian countries.참고 자료
없음태그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
- 지속 가능한 선교 관점에서 본 한국선교 전략 고찰30페이지
- 변화의 시대, 문화접촉을 통한 힌두교권 유학생 선교 제언: 미로슬라브 볼프의 ‘포용신학의 포옹개념’..31페이지
- 선교적 교회의 현장성(contextuality)에 관한 소고: 블루라이트교회를 중심으로28페이지
- 포스트모던 감수성에 맞는 선교 이해: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의 은유신학(Meta..30페이지
-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한국교회의 성육신적 제자도 선교42페이지
- 아시아 선교사의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34페이지
- 선교의 한 목표로서의 평화 개념 재고30페이지
- 교회의 통합적 선교 리더십에 관한 고찰: 코로나 상황 속에서 교회의 대사회적 리더십 회복의 모색35페이지
- 코로나 팬데믹 국가적 재난과 복음전파: 초대교회와 한국전쟁 상황의 전도 활동 비교연구24페이지
- 진산사건에 나타난 제사관에 관한 고찰: 윤지충과 정약용을 중심으로3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