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 of Rattus norvegicus on Uninhabitable Islands - Case of Sasudo Island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6권 / 6호
ㆍ저자명 : Jun-Won Lee, Ga-Ram Kim, Seon-Mi Park, Sung-Hwan Choi, Young-Hun Jung, Hong-Shik Oh
ㆍ저자명 : Jun-Won Lee, Ga-Ram Kim, Seon-Mi Park, Sung-Hwan Choi, Young-Hun Jung, Hong-Shik Oh
목차
ABSTRACT요 약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1. Selection of survey areas
2. Eradication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1. Eradication and Capture of Brown rat2
2. Management of Brown rat
ACKNOWLEDGEMENT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집쥐 퇴치 계획은 대한민국 최대 슴새 번식지 및 흑비둘기 서식처로 천연기념물 제333호로 지정되어있는 제주특별 자치도 소재(33°55′13.04″N, 126°38′19.98″E) 무인도서인 사수도 내 집쥐 퇴치를 위해 이루어졌다. 구제 연구는 2015년 1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총 12차례 진행되었고, 조사는 섬 전역을 천천히 배회하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동일하게 하여 조사하는 선조사법을 이용하였다. 이 때 확인된 배설물, 터널 등 Rattus norvegicus 흔적 주변에 포획트랩 을 설치하였다. 그 결과 매 차시 최소 2개체 ~ 최대 6개체가 포획되던 개체가 마지막에는 포획되지 않았다. 집쥐가 사수도에 유입된 경로는 과거 레저 및 어업을 위해 출입하는 배를 통하여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6년 집쥐로 인한 슴새의 피해가 확인된 후 철저한 경비를 통하여 사수도 출입을 엄격히 금하고 2013년 해양정화 사업과 2015년부터 지속된 포획을 통하여 구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상태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 앞으로 새로운 집쥐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철저한 출입관리를 이어가 출입자를 엄격히 통제하는 등의 보존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영어 초록
Brown rats (Rattus norvegicusBerkenhout, 1769) were eradicated from Sasudo Island (33°55′13.04″ N, 126°38′19.98″ E), an uninhabited island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333 and the largest breeding site for the streaked shearwater (Calonectris leucomelasTemminck, 1835) in South Korea. Twelve eradication studie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2015 to February 2021.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line census method that entailed slow wandering throughout the island and identifying starting and returning points. Capture traps were installed around traces of Rattus norvegicus,such as excrement and identified holes. As a result, 2 to 6 individuals were captured at each instance, except for the last time, when no individuals were captured. It is hypothesized that brown rats arrived at Sasudo Island via vessels arriving at the island for leisure and fishing. After the damage to streaked shearwater caused by brown rats was confirmed in 2006, entry to Sasudo Island was strictly prohibited through security measures, and marine clean-up programs that began in 2013 and continuous capturing since 2015 have been successful in eradicating brown rats. To maintain and manage the condition in Sasudo Islan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such as strict visitor control, are necessary to prevent the inflow of new brown rats in the future.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
- 박새과 조류의 둥지 재료 내 중금속(Zn, Pb) 축적특성 연구9페이지
- 자연공원 종류별 서식지질 비교13페이지
- 새만금 지역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증진 방안9페이지
- CVM기법을 이용한 가칭 ‘동서트레일’의 환경가치 추정8페이지
- 보길도 격자봉 일대 능선부에 분포하는 회양목 생육지의 생태적 특성14페이지
- 부산 태종대 식생관리를 위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11페이지
- 한국 특산식물 미선나무의 이화주성(Distyly) 및 개체군 크기12페이지
- 제주도 연안의 해조류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생태학적 평가12페이지
- 소안도에 서식하는 해마(Hippocampus haema) (Pisces: Syngnathidae)의..12페이지
- 방태천의 어류군집 특성 및 냉수성 어류의 서식양상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