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운전재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 4권 / 1호
ㆍ저자명 : 한상우, 송창순
ㆍ저자명 : 한상우, 송창순
목차
국문초록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과정
3. 연구도구
4.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정보 및 운전 현황
2. 운전여부에 따른 운전면허소지 2년 미만인 자의인지・지각능력의 특성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현재 운전 여부가 운전면허를 취득한 지 만 2년 미만인 자의 운전관련 인지・지각능력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20대 초보운전자 2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운전현황 및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CPAD)를 이용한 운전능력관련 인지・지각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량과 독립 t-검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결과 연구대상자들은 CPAD점수가 합격군에 해당되었으나, 스트룹검사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주 었다. 현재 운전을 하고 있는 집단과 운전을 하지 않는 집단을 비교분석 한 결과, 운전하는 집단은 깊이지각의 반응시간이 가장 높았고, 운전하지 않는 집단은 숫자외우기가 가장 높았다. 또한 깊이지각 검사에서 운전하는 집단의 반응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반면에 전반적인 운전능력관련 인지・지각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초보운전자들은 억제 조절능력이 다른 운전관련 능력에 비해 떨어지며, 운전여부에 따라 거리조절에 대한 반응속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보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운전능력관련 인지・지각능 력의 평가 및 훈련과정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영어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rent driving status on driving-related cognitive and perceptual function of those who have obtained a driver’s license for less than 2 years.Methods : Twenty-six novice driv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nducted common characteristics driving status, and cognitive and perceptual ability tests related to driving abilities using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CPA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PAD scores of the study subjects belonged to the passing group, but showed the lowest score on the Stroop tes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driving group and the non-driving group, the driving group had the highest reaction time for depth perception, and the non-driving group had the highest number memorization. In addition, the reaction time of the driving group was found to be faster in the depth perception tes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and perceptual abilities related to overall driving ability.
Conclusion : Novice drivers' restraint control ability was lower than other driving-related abilitie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response speed to distance control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driving or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develop a training course and evaluation of cognitive and perceptual abilities related to driving ability targeting novice dr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