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무장지대(DMZ) 내 6․25 전사자 유해발굴의 중요성 과 의의에 대한 고찰 : 화살머리고지의 유해발굴 성 과와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3 최종저작일 2022.12
23P 미리보기
비무장지대(DMZ) 내 6․25 전사자 유해발굴의 중요성 과 의의에 대한 고찰 : 화살머리고지의 유해발굴 성 과와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 / 6권 / 6호
    · 저자명 : 윤지원

    목차

    논문요약
    I. 들어가는 말
    II. 유해발굴사업의 법적 및 제도적 지원과 신원확인센터의 역할
    1. 활동이론과 유해발굴사업의 의미
    2 유해발굴감식단 내 신원확인센터 개소
    III. DMZ 내 유해발굴 배경과 의의
    IV. 화살머리고지 지역의 유해발굴 재개와 성과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2000년부터 시작된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은 전쟁 기간 동안 수 습되지 못한 전사자 13만여 분을 찾아 국가와 가족의 품으로 모신다는 데 목적을 두고 추진 중이다. 2005년부터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을 출범하여 유전자 채취와 신원확인센터 설치 등 체계적 및 전문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영구적인 국가정책 사업이다. 아울러 2018 년 4·27 판문점 선언과 9.19 남북군사합의에 의해서 오랜 숙원 사업으 로 제기됐던 비무장지역(DMZ) 내 유해발굴이 가능해졌다. 오랜 기간 접근하지 못했던 DMZ 내에서 남북유해발굴 공동합의는 접경지역과 한 반도에서의 군사적 긴장완화에 대한 남북한의 의지를 잘 반영한 것이 다. 기대했던 북한의 약속 이행은 없었지만 국방부는 2019년 4월 1일 부터 2021년 6월 24일까지 약 2년 반 동안 “9·19 남북군사합의”에 명 시된 남북공동유해발굴의 사전준비 차원에서 화살머리고지 일대 남쪽 지역에서 유해발굴을 꾸준히 진행했다. 특히 DMZ 내 화살머리고지 유 해발굴을 통해 9명의 국군전사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유해봉환 및 안장 식을 거행했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의 의미와 중요성, 체계 수립을 위해서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을 근 간으로 세부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이 논문에서는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평화와 유지와 인도주의 차원에서의 최초의 DMZ 내 남북 공동유해발굴사업의 추진 배경과 성과, 그리고 의의를 중심으로 유해발 굴사업의 중요성과 함의에 대해 고찰했다.

    영어초록

    The excavation project for the remains from the Korean War, which began in 2000,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aim of finding approximately 130,000 dead who were not collected during the war and serving them in the arms of the state. This is a consistent national policy project that has been promot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of South Korea in a systematic way such as collecting genes and establishing an identification center with the creation of the 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ification since 2005. It became possible to excavate remains in the DMZ by the 2018 Panmunjom Declaration and the 9·19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 The joint agreement on the excavation of the remains in the DMZ, by the two Koreas reflects the two Koreas’ commitment to easing military tens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there was no expected fulfillment of North Korea’s promise, the MND had continued to excavate remai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Arrowhead Hill for about two and a half years from April 1, 2019 to June 24, 2021. Based on this analysis,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importance and implications of the joint inter-Korean excavation project in the DMZ for the first time, focusing on the background,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which was driven by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humanitarian consid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 국제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