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논문) 서울시 합정개발계획 문화예술거리 조성에 대한 연구
iasdfh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건축 논문) 서울시 합정개발계획 문화예술거리 조성에 대한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제 1장. 서 론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용어정리
1.3.1. 점진적 개발
1.3.2. 기반시설
2. 제 2장. 서울시 정비사업 계획안
2.1.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2.1.1. 주택재개발 사업과 주택재건축 사업
2.1.2. 뉴타운 사업
2.1.3. 재정비 촉진사업
2.2. 기존 정비계획에 관한 고찰
2.2.1. 전면 재개발로 인한 도시맥락의 단절
2.2.2. 단기적 조성으로 인한 변화에 대한 적응력 부재
2.2.3. 이차원적 토지이용계획으로 인한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분리
2.3. 합정전략정비구역 계획(안)
2.3.1. 서울시 계획안
2.3.2. 계획안 종합 분석
2.4. 개발계획에 대한 문제 제기
3. 제 3장. 개발 계획에 대한 디자인 개념
3.1. 점진적 개발이 지녀야 할 조건
3.1.1. 지속적인 유지
3.1.2. 자립성 유지
3.1.3. 종합적 수용
3.2. 저층주거지의 도시공간적 특성
3.2.1. 가로와 필지를 기반으로 한 집합성
3.2.2. 가로체계의 다층적 위계
3.2.3. 공공 영역과 사적 영역의 긴밀성
3.3. 저층주거지의 개발을 위한 방법론 고찰
3.3.1. 공동주택
3.3.2. 지역 커뮤니티 활용
3.3.3. 지역적 문화를 수용
3.4. 소 결
4. 제 4 장. 새로운 개발 계획 배경
4.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4.2. 계획대지의 선정 및 광역적 분석
4.2.1. 계획대지의 선정
4.2.2. 계획대지의 광역적 분석
5. 제 5 장. 새로운 개발 계획 설계안
5.1. 계획 대상지 현황에 관한 분석 및 문제제기
5.2. 계획 대상지 계획 방향
5.2.1. 공간계획
5.2.2. 프로그램 계획
5.2.3. 개발 계획 전제조건 (서울시 법적, 행정적 허가)
5.3. 계획 대상지 설계 프로세스
5.3.1. 도시적 연속성 관계를 고려한 설계
5.3.2. 인접대지와의 관계를 고려한 설계
5.3.3. 사이트 내부 설계
5.4. 전시패널 및 모형사진
5.4.1. 전시패널
5.4.2. 모형사진
5.5. 투시도 및 계획도면
5.5.1. 투시도
6. 제 6장. 결 론
7. 참고 문헌
8. ABSTRACT
본문내용
현존하는 저층 고밀 지역의 개발방식은 불도저식으로 도로의 폭을 확장하여 대로를 형성 하고 저밀 고층화 시키는 방식으로 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 방식을 획일화시키고 지역성이 사라지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경제적으로 부동산 투기의 수단으로 전략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개발방식이 아닌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는 점진 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개발방식에 대한 문제를 구체화 하고 새 로운 개발방식에 대한 방법과 당위성을 찾고 계획안을 제안하고자 한다.특히 획일화된 방법으로 전면 대규모 재개발을 하는 개발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점진적 개발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에 대한 방법과 당위성을 도 출하여 실제 지역의 개발에 적용하고자 한다.
서울시 합정 전략 정비구역 개발계획을 바탕으로 계획을 진행하고자 한다. 서울시는 홍대 지역의 문화, 예술적 흐름을 당인리 발전소(문화 예술 공간으로 개발예정)까지 연속될 수 있 도록 주차장 길이 끊어지지 않고 연속되도록 기존의 도로를 폭 30미터의 넓은 문화예술거리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알파라이징이라는 신조어가 각 사회분야에서 추구되고 있는 현실처럼 도시들은 그들만의 특색 있는 가치 있는 개발을 하고자 노력을 하고 있다. 그 러므로 지역사회가 가지는 문화적, 사회적 등의 특색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필수적인 것이다. 하지만 서울시에서 제안한 계획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기 전 일반적으로 획일화된 개발방식의 논리에 의한 산물이다. 합정 전략 정비구역 개발계획은 대규모 획일적 개발계획에서 수정되어 자발적 개발을 유도하는 방안으로 변화되었다. 하지만 도로 폭을 확 장하는 방식으로 문화예술거리를 조성하고 그 거리의 형성으로 인해 문화적 흐름이 당인리 문화 공간(예정)까지 이어지도록 하겠다는 계획은 변함이 없다.
참고 자료
민범식 외2, 기성시가지 정비기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02.배웅규 외 3, 2011, “저층주거지 특성에 따른 관리방향 및 검토과제 도출” 도시설계 2011 제12권 3호.
권영덕, 기성 시가지 내 정비사업의 공공시설 확보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유해연, 도시저층주거지 재생을 위한 소블록 단위 집합주거 계획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김성현, 생활권 중심시설의 적정입지를 위한 도시계획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0.
김성신, 19세기 서울의 필지조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1993.
손세관, 도시주거지역에서의 장소형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1989
이나라, 콘텐츠를 이용한 대중문화벨트화 방안 연구, 2010.
Alexander.C, A New Theory of Uban Design, Oxford Univ. Press,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