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어국문학과 학사 졸업 통과한 논문입니다.
고전문학 중 고전소설 분야에서 숙향전을 선택해서 논문 작성하였고, 특히 숙향전의 논문 양이 많지 않은 점과 논문 작성 당시 고민을 많이 하면서 시대 상 속의 여성에 대해 심도있게 고찰하며 작성하였습니다.
논문 작성을 위한 가이드나 숙향전에 대한 과제를 할 때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억압된 여성의 현실에 대한 공감
1) 집 안의 여성
2) 인고의 여성
3) 열녀로서의 여성
2. 소설에서 드러난 여성의 소망
1) 이해와 공감의 소망
2) 남성 비판 소망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현재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과 달리 <숙향전>은 지금까지 남아있는 적지 않은 양의 필사본이나 자료 등으로 볼 때 당대 대중들에게 계층을 아울러 많은 사랑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숙향의 이야기는 회자되고 많이 읽히는 것을 넘어서 조선후기 다양한 장르에 수용되었다. 숙향은 ‘반야산의 숙향’이나 ‘낙양옥중의 숙향’과 같은 비애와 비련의 이미지로, ‘이화정의 숙향’, ‘이선의 숙향’ 등 아름다운 선녀를 의미하는 관용어구로 중국 고사와 동등하게 쓰일 정도로 대중과 창작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숙향전>의 줄거리를 보면 적강한 선녀인 숙향이 왕규의 예언에 따라 5번의 죽을 액을 겪고 천상에 연이 있었던 이선과 만나 결혼하고 부모님을 다시 만난 뒤 부귀영화를 누리고 다시 천상으로 돌아가는 내용이다. 이렇게만 보면 주인공이 고난과 역경을 누리다 이것을 극복하고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다른 고전소설과 다를 점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숙향전>은 많은 고전소설들 중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들려지며 지금까지 살아남아왔다. 비슷비슷한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것 같은 한국 드라마 중에서도 인기가 있고 명작이라 불리는 드라마들은 타 드라마들과 다른 독특한 점이 있는 것처럼, 당대 <숙향전> 또한 다른 고전소설과 다른 점이 있었고 그것이 대중들로 하여금 <숙향전>에 열광하게 하였을 것이다.
임성래는 <숙향전>을 대중소설적으로 분석하여 이러한 인기의 요인을 세 가지로 요약했다. 숙향의 온갖 고난과 이선과 숙향의 결연, 그리고 천분설과 숙명론에 충실한 주인공이 바로 그것이다. 숙향의 고난은 극적 긴장감을 조성하여 작품의 흥미를 유지시키고 당대인들의 동정심을 유발시켰다는 것, 숙향이 고난을 극복하고 이선과 결합하는 결연을 중요하게 다룬 것, 그 결연이 천분설과 숙명론에 충실했다는 점에서 <숙향전>이 독자의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참고 자료
강명관, 『열녀의 탄생-가부장제와 조선 여성의 잔혹한 역사』, 돌베개, 2009.
조동일, 『제 3판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97.
차충환, 『숙향전 연구』, 월인, 1999.
경일남,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과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 82, 어문연구학회, 2014.
신태수, 「사랑은 어떻게 여성의 신분과 정절이데올로기를 극복했나」, 『비평문학』 제59호, 2016.
이상구, 「淑香傳의 文獻的系譜와 現實的 性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임성래, 「숙향전의 대중소설적 연구」, 『배달말』 18, 배달말학회, 1993.
이유경, 「<숙향전>의 여성성장담적 성격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환상의 기능과 의미」, 『고전문학과 교육』 22, 2011.
조혜련, 「<숙향전>의 숙향: 청순가련형 여성주인공의 등장」, 『고소설연구』 34권, 한국고소설학회, 2012.
최기숙,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고전문학연구』 38권, 한국고전문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