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민족에게는 고유한 문화가 있고, 어떤 민족이라도 자신들의 삶터를 이루는 자연환경에 적응해 살아오면서 형성된 독특한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양식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그 민족 고유의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음악문화도 이와 마찬가지로 어떤 민족이 그들만의 독특한 음악문화를 가지고 있다면 그 안에는 민족의 주된 생활방식, 언어의 특질, 역사적 경험과 그 경험으로부터 오는 독특한 정서, 그리고 오랜 세월동안 터득한 삶의 지혜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악은 우리 생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음악활동을 통해 경이로움, 기쁨, 웃음, 움직임 등을 유도할 수 있고, 자유와 창의력, 표현의 의미를 일깨워 줄 수 있다. 이렇게 음악을 통해 자아를 확립해가는 유아에게 체계적인 음악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해방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은 음악적 측면에서 서양음악위주로 음악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우리 음악은 명절에 잠시잠깐 다루어지던 것이 보통이었다.
대학에 들어오기 전 나 또한 국악에 대해서는 매우 무지했으며, 생소하게 느껴졌고 나를 포함한 대다수의 국민이 그렇게 느낄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뒤늦게 생각해보니 우리 전통음악이 왜 이렇게 생소하게 느껴지는지에 관해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초․중․고등학교 교육에 전통음악 교육이 마련되어 있지만 수업의 시수가 적은 것은 물론이고 이미 음악적 능력이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보다 그 이전 유아기의 음악교육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최근 국악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성이 조금씩 높아지면서 국악 교육이 늘어나고 있는 형편이지만 서양 음악 교육과 비교했을 때 아직도 국악 교육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는 서양 음악 교사들보다 국악 교사들이 더 적음과도 상관이 있고 체계적인 국악 교육 체제가 성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도 보인다.
· 강혜인, 『유아교육, 우리 음악으로 가르쳐요』, 서울 : 전통예술원, 2002.
· 김윤정, 『피아노 음악』, 서울 : 춘추음악사, 1992.
· 김진영·엄정애·이승연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서울 : 양서원, 2007.
· 정성자, 『어린이 국악교육의 실제』, 서울 : 창지사, 1993.
· 정성자, 『교육현장에 필요한 어린이 국악 작품집』, 서울 : 창지사, 2000.
· 조윤미, 『함께 즐기는 유아국악교육』, 서울 : 창지사, 2004.
·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2.
· 임신화, 『유아국악지도방법론』, 서울 : 교육아카데미, 2010.
· 임미경·현경실·조순이·김용희·이에스더, 『음악교수법』, 서울 : 학지사, 2010.
· 황성숙, 『유아교사를 위한 동요반주법의 실제』, 서울 : 학문사, 2003.
· 김미경, 「유아국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김현민, 「유아 교육의 현황의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성용혜, 「유아 국악장단 수업 모형의 개발 및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송여진, 「오르프 교수법에 의한 음악 교육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송영숙, 「유아의 포괄적 국악교육 연구 - 장단의 포괄교육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4.
· 오상민, 「유아 음악 교육의 리듬학습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우진숙, 「음악적 리듬감 체득과 독보력 습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 교육대학원, 2003.
· 윤성혜, 「유아 국악 교육 실태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이수민, 「유아기 음악교육의 인지발달 단계적 접근 방법」,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이혜정,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장단 학습지도 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장 미, 「신 삐아제 이론에 근거한 음악학습의 인지 발달론적 접근」,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 정애경, 「유아 전통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변화와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정원경, 「취학전 아동의 국악프로그램 개발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추희주, 「Kodάly와 Orff의 교육방법을 토대로 한 유아기 리듬 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최영미, 「유아 피아노 교육관련 학습 환경 실태 파악 및 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최은영, 「유아국악 장단놀이 지도법 연구 : 장구장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한강수, 「굿거리와 중중모리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