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진단검사
5. 임상증상
6. 치료
7. 간호
Ⅲ. 자료 수집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진단검사
4. 낙상기록
5. 약물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의 정의
출혈로 인한 뇌순환의 갑작스런 감소에 의해 신경학적 결손 초래를 말하며 뇌내출혈에는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이나 혈관종, 뇌종양, 출혈성 소인, 두부외상 등의 출혈 원인이 확실할 것과, 고혈압을 기반으로 하는 고혈압성 뇌출혈(hypertensive ICH), 확실한 원인이나 기초 질환이 불분명한 특발성 뇌출혈(spontaneous ICH) 등이 있다.
출혈부위에 따라 기저핵출혈, 시상출혈, 대뇌출혈, 소뇌출혈, 뇌교 및 연수 출혈 등이 있으며, 기저핵출혈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다.
2. 병태생리
뇌교(pons)의 원발성 출혈은 악성 고혈압이 있을 때 빈발하며, 이는 임상 경과가 급격하여 아주 초기에 혼수에 빠지는 경우가 많게 된다.
출혈은 뇌바닥다리뇌(basis pontis)와 피개(tegmentum)의 경계부에서 흔하다.
대뇌의 출혈 호발부위로는 대뇌 반구의 백질로서 후두부 36%, 전두부 27%, 측두부 19% 그리고 두정부에 18%로 나타난다.
혈종을 뇌로부터 제거하면 그 자리에 공동을 남기며 그 변연은 불규칙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큰 혈괴 주위로 무수한 점상 출혈을 보게 되는데, 이는 출혈 주위의 빈혈 및 부종을 나타내는 백질에 분포하는 모세혈관 주위의 출혈로서 아마도 주출혈과 동시에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뇌내에 갑자기 생긴 혈종으로 인하여 주위의 뇌조직은 물론 파괴되고 그 뿐 아니라 그 압력으로 뇌조직의 약한 부위를 따라 파급되게 되는데 이 때 파급되는 방향은 섬유로의 주행 방향에 평행하게 된다. 이러한 소견들은 원발성뇌내 출혈로가 경색증에 의한 이차성 뇌내 출혈을 감별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며 현미경적으로 혈종 주위의 뇌조직의 괴사, 부종 및 다발성 혈관 주위 출혈을 보인다.
출혈의 대부분의 경우 파열된 혈관을 찾기가 불가능 하지만, 혈종내 혹은 주위에서의 혈관이 괴사성이거나 동맥경화성 비후를 보이며 속립성동맥류를 보이는 수도 있다.
참고자료
· 꿍 블로그, “뇌내출혈 이미지”, https://blog.naver.com/iikkii0201/222541138523, 2022.01.20
·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 현문사(2019) p. 435~447
·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2, 9판 개정 : 수문사(2021) p. 1538~1540
· 지제근. "뇌내출혈의 발생기전 및 병리."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12.1 (1983): 3-6.
· KIMS 의약정보센터(2020. Nov), 의약품 검색 Retrieved, from http://www.kimsonline.co.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