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를 통한 경제적 효과와 중국시장 진출의 전략>
치킨값벌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류를 통한 경제적 효과와 중국시장 진출의 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졸업 논문으로 제출하였습니다.
중국사이트에서 추출한 자료들과 참고문헌의 자료들이 다양하게 조합되어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1. 문제 제기
2. 연구 목적 및 방법
Ⅱ. 본 론
1. 한류의 개념과 중국내 한류의 상황
2. 중국내 한류를 이용한 경제적 효과
3. 중국내 한류 분야별 시장 진출 사례연구
4. 한류의 가능성과 한계성
(비즈니스의 활용 사례)
Ⅲ. 결 론
1. 중국내 한류 비즈니스의 성공에 의한 한류 활용 사업 추진 전략
2. 요약 및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문제 제기중국의 한류가 살아나고 있다.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태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던 중국 내 한류는 1990년대 이후 갈고 닦아온 저력을 바탕으로 재기하고 있다. 영화, TV드라마 ,케이팝(K-Pop)등 엔터테인먼트 중심이었던 콘텐츠도 케이뷰티(K-Bearty), 케이투어(K-Tour)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신한류’라고 불러도 좋을 만한 상황이다. 이러한 한류의 확산과 함께 한류 스타에 대한 동경과 관심, 더 나아가 스타를 닮고 싶은 심리가 결국 이들이 입고(패션), 바르고(화장품), 먹는(식품) 것에 대한 소비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로로 한류는 우리의 상품 수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금까지 상당히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속 가능한 한류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품질 좋은 콘텐츠를 생산해야 한다. 엔터테인먼트와 뷰티, 관광 등 분야에서 중국 소비자가 다시 찾을 수 있는 ’재 소비 구조’를 만들어 낼 필요가 있다. ‘90后‘와 ’00后’ 이후 세대를 공략하는 타겟 전략도 필요하다.
이에 먼저 한류의 변화상을 짚어보고 이러한 한류를 어떻게 우리 수출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연구의 목적 및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류에 대한 개념, 등장배경, 확산단계 등을 규명하고 문화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내 한류 발생배경, 발전과정 및 그 미치는 영향이 원인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둘째, 중국내 한류 콘텐츠 장르별(드라마, 음악, 예능 프로그램) 성공 사례분석 연구를 통해 한류 비즈니스의 활용 성공(음식, 패션의류, 화장품)을 분석하며 중국에 어떻게 진출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한류분석 및 마케팅 활성화를 분석하여 중국내에서의 한류 비즈니스 성공을 위해 어떤 사업의 추진 전략으로 한류를 활용할 것 인지를 제시하고자 하다.
넷째, 위에 제시하는 이론을 통해 향후 중국에서 한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강한균(2009).『동남아지역의 한류 문화콘텐츠가 한국의 수출과 FDI에 미치는 경제적효과분석』, 무역학회지 제34권 제1호, 한국무역학회,pp.29~47.검소양(2014).『한국 의류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p.50.
고정민(2005).『한류 지속과 기업의 활용방안』, 삼성경제연구소.
안창현(2010).『한국 문화콘텐츠산업 중국시장 진출전략』, 인문콘텐츠 제17호,인문콘텐츠학회, pp.457~497.
이동윤·안민아(2007).『동아시아에서 한류의 확산과 문제점』, 한국세계 지역학회,pp.4~7 참조 및 인용.
이주영(2014).『한국 수출기업의 문화마케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위논문, pp.51~64.
임윤정 외 2인(2010).『외래 관광객들의 한류 문화콘텐츠에 대한 행동예측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 24권,
제6호,대한관광경영학회, pp.143~144.
장규수(2011).『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1권 제9호,한국콘텐츠학회, pp.2~3
조병철·심희철(2013).『KPOP 한류의 성공요인 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안연구스마트미디어 기반 실감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3권 제5호, 한국콘텐츠학화,pp.100~101.
엄산산(2014).『한국 의류 패션 브랜드업체의 중국시장 마케팅전략에 대한 연구』,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9.
윤상일(2011).『한류문화의 활성화를 통한 문화산업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p.39.
조인희·이재혁(2007).『한류,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에 관한 연구』, 예술교육연구 5권1호, 한국예술교육학회.
팡루(2010).『한중 문화교류 확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한류 중심으로』,세종대학교,석사학위논문, p.62.
황인석 외 2인(2008).『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대종음악에 대한만족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6호, 한국콘텐츠학회, p.148.
호염령(2014).『한류가 한국기업의 중국 진출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3
왕정(2016).『중국에서의 한류 비즈니스 성공사례분석 연구』,경희대학교,석사학위논문,p74~78
한국콘텐츠진흥원(2015).『2015중국에서의 한국예능』, 중국콘텐츠산업동향, 2015년 6호,p.7.
한국콘텐츠진흥원(2014).『KPOP in China』, 중국콘텐츠산업동향, 2014년 22호, p3~4,p8, 참조 및 인용.
네이버: http://www.naver.com/
매일경제: http://www.mk.co.kr/
바이두(百度): http://www.baidu.com/
시청률 순위(收视率排行榜): http://www.tvtv.hk/
이렌왕(衣联网): http://www.eelly.com/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
중국소프트웨어왕(中国软件网) :http://www.cnsoftnews.com/
중국왕(中国网): http://www.cmnews.kr/
중국 이랜드: http://cn.eland.com/china/china01.html/
펑황왕(凤凰网): http://www.ifeng.com/
한국경제: www.hankyung.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Vlinkage: http://www.vlinkag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