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관련 사교육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체육 수업에서 나타나는 차이
- 최초 등록일
- 2021.02.14
- 최종 저작일
- 2018.04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체육 관련 사교육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체육 수업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문제
4. 연구의 제한점
5. 선행연구 분석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2. 연구 방법
3. 결과
Ⅲ. 결론
1. 요약
2.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마침내 2014년 3월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이하 공교육정상화법이라 칭함)이 제정됨으로써 결실을 보게 되었다. 그 간 시민단체의 끈질긴 노력과 국회의 입법화 과정에서의 논란등을 뒤로 한 채 학교현장에서 이 법의 규제로 인해 적어도 학교교육과정에서의 선행교육이 사라지게 되고 공교육이 정상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물론 학교 밖에서의 선행교육은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어 그 실효성에 의문이 있는 것이 현실이고, 방과후 학교에서의 선행교육을 예외로 하고 있어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교육정상화법이 공교육의 정상화를위한 초석의 하나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사실 공교육의 정상화 문제를 둘러싸고 해방 이후 간단없는 정책들2)이 쏟아져 나왔지만, 대부분이 단편적이고 대증요법적인 것이었다. 그리고 어떤 정책은 ‘풍선효과’로 인해 그 효과가 반감되기도 하였다. 예컨대 ‘입학사정관제’와 같은 대입 전형제도는 오히려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비판이 일기도 하였다. 이러한 논란의 핵심에는 정책의 일관성 부족이라는 문제도 있지만, 더욱 문제시되는 것은 성공적인 입법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심도 있는 검토와 합리성의 결여라는 문제이다. 따라서 공교육정상화법이 정책목표를 달성하는 데, 이러한 요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또한, 선행연구를 보면, 이전의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책들은 사교육을 대척점에 놓고 논의되어 왔기 때문에 공교육의 정상화라는 정책목표의 달성보다는 사교육 또는 사교육비 경감 대책이라는 요소가 더 강하게 작용한 측면이 있다. 특히 사교육비의 문제가 사회문제화 될 때마다 여론의 질타를 맞고 정부의 대책이 뒤이어 나온 것을 보면 공교육이 비정상화되어 있는 원인이 사교육의 탓으로 돌리려는 경향이 강했다.
참고 자료
강상조(2006). 체육통계(개정판). 서울 : 도서출판 21세기교육사. 교육인적자원부(2005).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V.
김도수(1996). 체육활동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김옥수(2007). 경쟁을 주제로 재구성한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서의 체육수업 참여유형 및 만족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김승재(1999). 체육실제학습시간과 학습 성취도의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