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석사학위청구논문] 초산모와 경산모의 임신출산 정보 요구도와 습득경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연 구 방 법
3. 결 과
4. 고 찰
5. 요 약
본문내용
2019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92명으로 OECD 국가 중 최저이며, 합계 출산율이 1명에 미치지 못하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통계청)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모자보건사업과 임신·출산 지원사업 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수혜 대상자 중 단 22.1%만이 혜택을 경험하였다고 하였으며 혜택을 본 사람 중 20.4%(전체의 4.5%) 만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출산장려정책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신효영, 방은령, 2009)
이는 현재의 출산장려정책이 효율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며 정책홍보에 있어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출산장려정책 중 현대 여성의 임신·출산에 대한 양질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에 대응하여 현재 민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임산부 건강증진 교육 등 산전 정보제공의 공공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황나미, 2010)
생식건강과 관련 최근 3년 간 출산경험 여성들의 임신 전 출산건강 관련 정보원을 조사한 임신준비 및 출산결과에 대한 실태조사에서도 공공기관의 산전 정보제공의 중요성에 대해 다루었으며, 이용자의 선호 매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 연구에서 대상자 중 44.1%가 인터넷을 통해 가장 많은 정보를 얻었다고 응답하였으며, 병의원 상담을 통해 출산 건강 지식을 얻었다는 응답(17.2%)보다 높은 수치로 우리나라 여성들의 출산 건강 관련 높은 인터넷 정보 의존도를 확인하였다.(이상림 외 2014)
국내 스마트폰 보급률은 95%로(2019년 기준) 스마트폰 사용이 대중화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정보습득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 인터넷 정보 이용 가능한 매체가 다양화되어 임산부의 임신·출산 정보 습득경로와 정부 운영 임신·출산 정보 제공 사이트 요구도에 대한 현 실태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참고 자료
정성희, 김정은, 김태윤, 박선영, 신윤주, 이선영. 온라인 환자커뮤니티 이용자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선호도 조사, 2007
민정원. 영유아 부모의 육아정보 이용실태 및 활용 지원 방안, 2014
길가예, 김민주, 새하늘, 주아라, 송화연, 정예진, 조동숙.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된 임산부의 임신과정 및 출산준비 질문 분석, 2016
왕희정, 박혜숙, 김일옥. 고령임부와 35세 미만 임부의 산전 건강관리 실태와 교육요구 비교, 2013
ZM Kim.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육아관련 인터넷 커뮤니티 참여현황과 사회적지지 및 양육 효능감과의 관계, 2007
이상림, 임지영, 이은주, 조영태, 라채린. 미혼여성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지원방안 연구 : 산부인과 이용 및 인터넷 이용 환경 개선, 2014
조경원, 감신, 채영문. 인터넷 건강정보 평가 기준을 위한 건강 소비자의 인터넷 이용행태 분석, 2007
채현주. 산후조리원 이용 초산모와 경산모의 산후조리 만족도 및 육아 교육요구도 비교, 2018
정성석, 정경화.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 비교 2011
박경연, 이선옥. 초산모와 경산모의 산후 6주 우울 예측요인 비교, 2011
고효정. 초산모와 경산모이 신생아 간호교육 요구도 비교, 2002
문정숙, 김영희.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사회적지지 및 소외감이 미혼모의 자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014
박선화, 우민수, 전경자, 유정옥. 온라인 커뮤니티 웹사이트에 나타난 임신과 출산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사, 2020
신효영, 방은령.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2009
황나미. 임산부 건강증진 교육사업의 공공화 필요성 및 추진방향, 2010
우영운, 조경원. 국내 건강정보 웹사이트의 신뢰성과 만족도 현황 분석,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