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8.6페이지로 이루어진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A+를 받은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초대교회의 설립
2. 초대교회의 구성원들
3. 교회의 모습
4. 초대교회의 모형: 소규모의 모임
5. 마태복음의 교회론
6. 에베소서의 교회론
7. 오늘날의 신약 교회로의 변환을 위한 제언
Ⅲ. 결론
본문내용
서론
사도행전에는 교회론이 담겨있다. 물론 다른 서신들에도 교회론이 담겨져 있지만, 실질적으로 교회라는 것이 시작한 사도행전에서 교회란 무엇이냐라고 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사도행전의 여러 주제 중 교회론을 선택한 이유는 현 사회적 현상 때문이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성도들이 교회에 출석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가정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다. 누군가는 가정예배로, 누군가는 유튜브로 다양한 방법으로 예배를 드리고 있다.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견이 나뉜다. 누군가는 반드시 교회에 모여 예배를 드려야 한다고 하며, 누군가는 가정에서 각자 예배를 드리는 것도 괜찮다고 얘기하고 있다. 코로나19가 많이 잠잠해진 것 같지만, 꾸준히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에서 교회에 대해서 논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성경에서, 특히 사도행전에서 무엇이라 하는지 살펴보고, 현재 우리가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도행전이 교회를 무엇이라 정의하고,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교회의 기능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교회가 처음으로 선포된 마태복음에서 예수께서 말씀하시는 교회란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며, 또한 에베소서를 통해 바울은 교회를 무엇이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
* 초대교회의 설립
초대교회인 예루살렘교회의 탄생은 성령의 임함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예수께서 성령의 충만함을 받음으로 공생애를 시작했던 것처럼 제자들도 성령으로 세례를 받음으로 그들의 공적인 활동을 시작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교회를 시작하게 한 사건은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이다. 교회는 그 이후에 탄생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초대교회가 탄생한 것은 바로 성령 임재로부터이다.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연약했던 제자가 능력의 종이 되고 첫 교회가 시작부터 폭발적인 성장을 하였던 것이다.
* 초대교회의 구성원들
이스라엘 교회 안에 언어가 서로 다른 두 그룹, 히브리파와 헬라파가 있었다.
참고자료
· 홍경환. “사도행전에서 본 교회와 선교.” 「미션인사이트」 5권 (2013 여름). 107-126
· 조병수. “초기 기독교의 가정교회-자료분석.” 「신학정론」 20권 (2002 봄). 33-62.
· 김근수. “사도행전의 교회론: 신앙공동체로서의 신약교회 태동.” 「KRJ 개혁논총」 50권 (2019 가을). 9-27.
· 장동수. “신약성서의 가정교회.” 「복음과실천」 37권 (2006 봄). 41-70.
· 이종우. “현대교회의 패러다임 변화를 위한 초대교회의 상황화 연구.” 「개혁주의 교회성장」 (2007). 1-27.
· 정경호. “사도행전에 나타난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비빔의 밥상: 사도행전 2장 42-47을 중심으로.” 「신학과 목회」 40권 (2013 겨울). 187-214.
· 조병수. “마태복음의 교회론: 참 이스라엘로서 세상에 마주선 그리스도의 교회.” 「신학정론」 14권 (1996 겨울). 371-394.
· 장동수, “에베소서의 교회론” 「복음과실천」 27권 (2000 가을). 103-144.
· Willam Barclay. 「바클레이 성경주석」. 「마태복음 하」. 기독교문사 편찬위원회 역. 서울: 기독교문사, 2009.
· 정인찬 외 21명. 「카리스종합주석」. 「제2권: 마태복음 10-19장」. 강병도 편. 서울: 기독지혜사, 2005.
· 김영봉.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성서주석」. 「마태복음 Ⅱ」.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