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학부졸업논문으로 쓴 것입니다.내용이 상세하여 레포트나 발표 준비할 때 도움이 많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목차
Ⅰ. 서론Ⅱ. 부마민주항쟁의 배경
1. 부마항쟁의 국제적 배경
2. 부마항쟁의 국내적 배경
3. 부산지역의 사회구조적 배경
Ⅲ. 부마민주항쟁의 전개과정
1. 부산의 10월 15일
2. 부산의 10월 16일
3. 부산의 10월 17일
4. 부산과 마산의 10월 18일
Ⅳ. 부마민주항쟁의 성격과 의의
1. 부마민주항쟁의 성격
2. 부마민주항쟁의 의의
1) 유신정권 붕괴의 결정적 계기
2) 한국 민주화운동의 분수령
3) 민중생존권의 확보투쟁
Ⅴ. 결론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지금으로부터 36년 전 1979년 10월 26일. 계속되는 항쟁에도 강고하게 폭력적인 압제를 일삼던, 절대로 무너지지 않을 것 같던 철옹성과 같은 유신체제가 박정희의 죽음과 더불어 붕괴했다. 무엇이 영생할 유신체제를 몰락으로 몰고 갔을까?
해방이후 대한민국에 남은 과제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민주화였다. 하지만 해방과 동시에 독재자가 등장했다. 결국 1960년 4월 19일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폭정에 견디다 못한 민중들은 들풀처럼 일어났고, 민중들의 봉기는 어느새 확대되고 진화되어 혁명이 되었다. 그리고 결국엔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렸다. 우리 역사에서 최초로 부당한 최고 권력자를 민중의 힘으로 물리치는 쾌거를 이룩한 것이다. 하지만 끝날 줄 알았던 독재정권은 다시 한 번 등장했다. 더욱 강한 독재 군부 지도자가 나타난 것이다. 18년 동안 국민을 눈 감고 귀를 닫은 채 살아가게 했던 박정희 정권이 무너진 것은 대외적으로는 카터의 인권외교와 주한민군 철수론에 의한 국가 간의 긴장관계와 대내적으로는 개발독재에 내재되어 있던 모순들, 그리고 부산과 마산지역의 노동구조와 야당지도자에 대한 탄압 등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결정적인 원인은 부산과 마산지역에서 일어난 민주항쟁이었다. 하지만 부마민주항쟁은 10.26사태가 발생함으로써 그것이 한국 민주화 과정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와 성과가 잘 부각되지 않는 실정이다. 특히 4.19 혁명이나 5.18 민주화운동, 6월 항쟁에 대한 연구 성과에 비하면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부족하다. 부마항쟁은 비록 부산과 마산에 국한되어 일어났지만, 그 여파는 한국정치변동 중에서 민주화 운동의 분수령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부마민주항쟁의 배경과 전개과정, 의의를 연구해보며 항쟁을 다시 한 번 고찰해보고자 한다.
Ⅱ. 부마민주항쟁의 발발 배경
먼저 70년대 후반의 정치정세와 유신체제의 억압구조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부산대학교 총학생회, 『거역의 밤을 불사르라-10월 부마민중항쟁사-』, 1985.이상우, 『권력의 몰락』, 동아일보사, 1987.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부마민주항쟁 10주년 기념 자료집』, 부마항쟁 10주년 기념사업회, 1989.
김교식, 『다큐멘타리 박정희 4』, 평민사, 1990.
김영명, 『한국현대정치사: 정치변동의 역할』, 을유출판사, 1992.
김영명, 『한국현대정치사』, 을유문화사, 1996.
조희연, 『한국의 국가 민주주의 정치변동』, 서울:당대, 1998.
김영삼, 『김영삼 회고록: 민주주의를 위한 나의 투쟁』, 백산서당, 2000.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 연구논총』, 민주공원, 2003.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 증언집 : 부산편 1』, 민주주의 사회연구소, 2013.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 증언집 : 부산편 2』, 민주주의 사회연구소, 2013.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 증언집 : 마산편 1』, 민주주의 사회연구소, 2013.
한홍구, 『유신』, 한겨레출판, 2014.
사공일, 「경제성장과 경제력 집중」, 한국개발연구 제 2권 1호, 1980.
박현채, 「1970년대의 노동자, 농민운동」, 『해방 40년의 재인식Ⅱ』, 1984.
이근성, 「유신정권과 재야세력의 등장」, 『유신체제와 민주화 운동』, 1984.
이수언, 「부마사태의 전모를 밝힌다」, 『신동아』5월호, 1985.
한국기독교협의회 인권위원회 ,「부마항쟁」,『1970년대 민주화 운동』Ⅳ, 1986.
성기철, 「유신종말의 서곡, 여성근로자들의 비명소리-YH사건」, 『언론에 비친 한국정치: 1945~1995』, 1995.
김석준, 「박정희시대 민주화운동에 대한 고찰」 부산대 사대 논문집 제 38집, 1999.
김경호, 「부마민주항쟁의 배경과 정치사적 의의」, 21세기 정치학회, 2000.
조정관, 「한국 민주화에 있어서 부마항쟁의 역할」, 21세기 정치학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