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지도 동기 및 목적
Ⅱ. 작품의 주요 내용
Ⅲ. 전망 및 가능성
Ⅳ. 작품의 내용
Ⅴ. 지도 과정
Ⅵ. 작품의 활용 및 효과
Ⅶ. 전망 및 일반화 가능성
Ⅷ. 작품에 적용된 발명 만화
Ⅸ.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1. 지도 동기
“선생님! 풀이 다 말라서 못쓰게 되어 버렸어요.”, “선생님! 풀 뚜껑을 잃어버렸어요.”, “색종이를 붙이고 난 후 뚜껑을 닫으려고 보니 어디로 굴러갔는지 뚜껑을 찾는데 한참 걸렸어요.”
하은이네 반 친구들이 미술시간이면 제일 많이 하는 질문이다. “어떻게 하면 풀을 사용하면서 풀 뚜껑을 잃어버리지 않게 사용할 수 있을까?”를 한참동안 고민하다가 딱풀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관심을 가지고 학생과 함께 조사해 보았다. ① 딱풀의 뚜껑을 분실하여 딱풀이 말라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② 딱풀을 사용하고 난 후 딱풀의 뚜껑을 닫기 위해 한참동안 찾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딱풀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돌려서 풀이 나오도록 하는 딱풀의 특성상 모양이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어 진다. 따라서 풀 뚜껑을 분실하는 경우나 오랜 시간이 걸려 풀 뚜껑을 찾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렇게 딱풀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뚜껑을 열고 사용할 때 생기는 문제점을 접하면서 이하은 학생은 딱풀의 몸체와 뚜껑을 기능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발명품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과학적 원리가 생각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래서 딱풀의 뚜껑을 분실하지 않고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뚜껑을 꽂아야만 접착 성분이 돌출되는 스마트 딱풀」을 제작하도록 지도하고자 하였다. 한 방향 톱니(래칫)와 멈춤 장치(스토퍼)의 원리를 이용하여 이하은 학생이 만들고자 하는「뚜껑을 꽂아야만 접착 성분이 돌출되는 스마트 딱풀!」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도조언 하였다.
본 발명품이 풀의 구조상의 문제로 인한 뚜껑 분실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풀의 기능 상실(풀의 굳음)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여 자원절약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자료
· 발명 특허 성공 비결. 왕연중(2015). 과학사랑
· 순간의 아이디어에서 탄생한 세계적 특허발명 이야기. 왕연중(2014). 세창미디어
· 로드 바이크의 과학. 후이지 노이아키(2014). 엘빅미디어
· 알트슐러의 40가지 발명원리. 셀루츠키(2013). GS인터비전편집부
· 그림으로 보는 발명문제 해결이론 40가지 원리. 박성균(2008). 인터비전
· 앗 발명 속에 이런 과학원리가. 이정화(2004). 대교출판
· 국립중앙과학관(http://www.science.go.kr)
· 한국특허정보원 특허정보검색서비스(http://www.kipris.or.kr)
· 구글 검색(http://www.google.co.kr)
· 네이버 검색(http://www.naver.com)
· 대한민국학생발명전시회(http://www.ip-edu.net)
· 한국발명진흥회(http://www.kipa.org/kipaweb)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