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예술인을 위한 문화예술복지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최초 등록일
- 2019.12.19
- 최종 저작일
- 2019.12
- 18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목차
1.들어가는 말
2.장애예술인 문화예술복지의 현황 분석
3.장애예술인 문화예술복지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제시
4.나가는 말
본문내용
문화 복지의 세계화시대에 발맞추어 정부는 국가 정책과제 중의 하나로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을 시행하였다. 2013년에서부터 2017까지 시행된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에서는‘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행복한 사회’라는 비전 아래 문화·체육 향유 확대의 지원이 실시됨으로써 장애예술인 권리및 복지증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정부는 5년마다 장애인과 고용 관련 단체 및 학계 등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을 수립하였고, 2018년에는‘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정부가 2007년부터 시행한「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장애예술인은 제대로 된 복지를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장애예술인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결정 단계에서 장애예술인 당사자의 의사 반영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애예술인 문화예술복지의 현황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안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크게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는 장애예술인의 권리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장애예술인의 문화예술복지 증진기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절차로는 첫째, 장애예술인권리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정부의 예술인 지원제도 중에서‘예술 활동증명 제도’의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 파악된 예술 증명제도의 현황에 드러난 장애예술인 권리 침해를 분석한다. 셋째, 장애예술인의 권리 침해 부분에 대한 개선점에 대하여 분석, 연구한다. 넷째, 장애예술인의 권리보장 및 복지증진 기여에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적 절차를 제시한다.
참고 자료
김지영(2016). 국내 예술인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문화관광부(2007). 장애인+문화복지+중장기+기본계획 문화시설 내 장애인 문화
프로그램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2012). 장애인 문화예술실태 및 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제 1권
장애인문화예술실태 조사. 박태해 문화부장(2014).“[세계타워] 장애예술인도 체감하는‘문화융성’돼야”,
세계일보 기사 2014-11-18 21:38:37.
박혜신(2010). 장애인예술가에 대한 인식. 방귀희(2013). 장애예술인의 창작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2007).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의 하위법령연구. 보건복지부(2012).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3~2017)수립방안 연구. 보건복지부(2013).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3~2017).
보건복지부(2018). 2018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부(2018). 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안) (2018-2022).
송영화(2017).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정책 방안 연구. 유엔(1948). 세계인권선언문. 이민경(2015). 장애인의 사회 및 문화·여가 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
포럼. 전누리(2019). 장애예술단체의 기획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연구. 전병태(2014). 2014 장애인 예술 장르별 지원 방안 연구 기본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5).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
초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17). 2017 장애인 문화예술향수 지원사업설명회 자료집
(배포용)- (4)장애인 예술가 창작활동 지원신청제출자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조사통계부(2016). 한눈에 보는 2016 장애인통계.
한국장애인개발원(2017). 2017 장애인백서. 대한민국헌법[시행 1988. 2. 25.] [헌법 제10호, 1987. 10. 29., 전부개정].
예술인 복지법[시행 2016. 5. 4.] [법률 제13970호, 2016. 2. 3., 일부개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약칭: 장애인차별금지법)[시행 2013.
4. 23.] [법률 제11522호, 2012.10.22., 일부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