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육사 윤동주 비교 연구 소논문입니다.목차
Ⅰ. 서론1. 연구 동기 및 일제강점기 시대상
Ⅱ. 본론
1. 삶과 역사인식
1) 윤동주
(1) 윤동주의 삶과 역사의식
(2) 윤동주의 시 속에 나타난 역사인식
2) 이육사
(1) 이육사의 삶과 역사의식
(2) 이육사의 시 속에 나타난 역사인식
2. 시적화자의 태도-1
1) 미래지향성
2) 속죄양 모티프
3. 시적화자의 태도-2
1) 윤동주의 시에서 나타나는 태도
(1) <서시>에서 나타나는 윤동주의 태도
(2) <참회록>에서 나타나는 윤동주의 태도
2) 이육사의 시에서 나타나는 태도
(1) <청포도>에서 나타나는 이육사의 태도
(2) <절정>에서 나타나는 이육사의 태도
4. 시에서의 공통된 소재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육사와 윤동주는 한국 근대의 어두운 시대 배경과 밀접한 과계를 맺고 있었고, 이들은 현실에 순응하지 않고 주체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성실한 삶을 지향했다. 하지만 암울하고 비극적은 시대를 대하는 태도가 달랐기 때문에 이육사와 윤동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이육사는 부조리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행동으로 보여준 반면, 윤동주는 외적인 행동과 실천 보다는 조용한 내면적 성찰과 자기희생으로 초극하는 의지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이육사와 운동주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시기는 1930∼1940년대 일제 말기이다. 1929년 미국에서 발생한 세계 경제 대공황을 일본에서도 영향을 받게 되고, 실업자들이 속출하며 산업 시설들이 마비되었다. 이에 일본은 난국을 타개하자 군국주의를 선택하게 되면서 일본은 1937년 중,일 전쟁으로 전시체제를 강화 시키고 조선인의 민족의식과 저항을 잠재워 전쟁 협력을 강요하기 위해 앞에서 한번 언급을 했지만 조선어 교육 금지, 일어 사용, 창씨계명 등 민족 말살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렇게 많은 조선인들은 전쟁에 끌려가게 된다. 일부 조선인들은 친일 행위로 당시 조선인들의 삶을 더욱 힘들게 하였다. 또한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본은 한글을 사용하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 모든 신문과 잡지를 강제 폐간시켰다. 이 정책에 저항하는 사람들에게 가해지는 불이익 중에는 학교의 입학과 전학을 거부, 총독부 관계기관에 채용하지 않는 등 조선인들의 삶을 더 피폐해지게 만들었다.
이러한 시대에 저항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윤동주와 이육사에 시에는 조국 광복에 대한 의지와 소망이 담겨있다. ‘시인’으로써 일제에 저항하며 독립 운동을 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이육사와 윤동주를 비교하려는 이유는 그들의 작품을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하고자 하는 판단 때문이다. 본 논문은 두 시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고 그들의 시가 지니는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이육사와 윤동주를 비교하는 것은 일제강점기 한국 시문학의 특성을 알아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참고 자료
이봉구 <시인의 별 – 윤동주 시집을 읽고> <평화 신문>강처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판 발문 (정음사, 1948년)
정지용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판 서문 (정음사, 1948년)
유 영 <내가 잃은 삼재> <자유 신문>, (1949년 8월 30일)
윤영춘 <고 윤동주에 대하여> <문예>, (1952년 5월)
고석규 <윤동주의 정신적 소묘> <초극>, (1954년)
정병욱 <고 윤동주 형의 추억> <연희춘추>, (1953년 7월 15일)
김용호 <민족 의식과 자아 의식> <연희춘추>, (1955년 2월 14일)
강승원 <학국 명작을 고향을 찾아서-5이육사 시의 재조명>, (1983. 6. 26.)
강뉴수, <이육사 시론>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2)
강전섭, <육사의 시문십유> <한국언어문학 8.9합호>, (1970. 12)
강창민, <이육사 시 연구> <현상과 인식>, (1983. 겨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