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경모, “물류조직의 인력 전문성과 수행능력에 대한 고찰”, 한국해운물류학회 제44권, 2005, pp.94∼95
· 김태현 외 공저, “전략적 물류 경영”, 한진물류연구원, 2007, pp.149∼151
· 경제자유구역기획단, “종합물류기업 세제지원 방안의 경제적 효과 분석”, 인하대학교 정석물류통상연구원, 2006, pp.63
· 박명섭, 박우진, “기업경영의 로지스틱스”, 우용출판사, 2008, pp.13
· 박찬익, “3PL 비즈니스와 로지스틱스 전략”, 두남, 2007, pp.97
· 송계의, “물류혁신론”, 두남, 2007, pp.114∼118
· 장태구, 박희대, “아시아물류서비스 : 분석과 전망”, 대구대학교출판부, 2008, pp.50∼54
· 전준수, “종합물류의 이해”, 박영사, 2004, pp.237∼240
· Saito Minoru, "3PL 비즈니스와 .로지스틱스 전략“, 두남, 2007
· 김정환, “물류인재의 개발전략”, 한국물류협회, pp.205
· 박찬석, “2008년 물류시장 환경과 전망”, 우정경영연구소, 우정정보 71호, 2007, pp.9∼10
· 백종실, “북미 3PL 시장 동향”, 해양수산개발원, 2004, pp.2∼4
· 서상범, 한상용, “종합물류기업 인증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정책연구 2007-07, 2007, pp.110∼122
· 전종근, “파트너간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온라인 마케팅 제휴의 성과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7권 3호, 2006, pp.324∼325
· 김문환, “주요 유통물류기업의 경영계획 및 전략”, 대한상공회의소, 2006
· 정종석, “물류산업 고도화를 위한 제3자 물류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1998
· 국토해양부, “물류시설 개발 종합계획”, 2008
· 한국무역협회 국제물류지원단, “수출입기업의 제3자 물류서비스 활용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 2015
· 한진물류연구원, “국내 제3자 물류 이용 실태조사 결과”, 2007
· 오승주, “한국 제3자 물류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CJ GLS와 한솔 CSN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pp.66∼67
· 윤태관, “제3자 물류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p. 10∼12
· 김종수, “정부 RFID 확산사업 본격추진”, 연합뉴스, 2008
· 배수진, “21세기 한국물류 인재 양성에 달렸다”, 물류신문, 2008년 11월 17일
· 조용성, “종합물류업 효과 극대화”, 파이낸셜, 2008년 1월 10일
· 권오경, 제3자물류의정의 : 적용추이와 향후 연구방향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998.
· Anderson, James C. and James A. Narus “A model of distributor firm and manufacturer firm working partnership", Journal of Marketing Vol.54, 1994, pp.42
· Blade, D. J. and Mueller, J. K, "New for the Millinnium : 4PL", Transportation & Distribution, 1999, pp. 78∼80
· Lieb Robert, "The North American third-party logistics industry in 2007 : The Provider CEO perspective", Transportation Journal, 2008, pp.40∼44
· Lieb Robert, "The year 2007 survey Provider CEO perspective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third-party logistics industry in the Asia-Pacific reg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Logistics Management Vol 38, Issue 6, 2008, pp.495∼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