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수업에서 사료와 디지털콘텐츠의 활용 및 효과
- 최초 등록일
- 2018.12.26
- 최종 저작일
- 2018.08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 동기
2. 연구 목적
Ⅱ. 본론
1. 사료 활용하기
가. 사료학습 전 과정
나. 사료학습 예시-‘홍경래의 난’을 중심으로
다. 사료학습의 교육적 효과
2. 디지털콘텐츠 활용하기
가. 디지털콘텐츠 활용의 필요성
나. 디지털콘텐츠 활용의 예시
(1) 영상자료의 활용
(가) 영화 활용하기
(나) 역사채널e 활용하기
(2) 시각자료의 활용 – 사진을 중심으로
다. 디지털콘텐츠의 교육적 효과
Ⅲ. 결론
4. 글을 마치며
본문내용
[요약]
본 연구에서는 역사수업에서 사료를 활용하여 학습하는 사료학습과 고도의 정보화 시대로 나아가는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디지털콘텐츠의 활용 및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료학습은‘홍건적의 난’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는 영상자료와 시각자료로 분류하였다. 영상자료는 다시‘역사 영화, 역사채널e’로 세분화하여 예를 들었으며 시각자료는 사진을 중심으로 실제 수업에서 활용 시 주의할 점과 교육적 효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 중 략 >
2. 연구 목적
역사 수업의 주된 목표는 ‘역사의식’ 또는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의식’을 ‘과거를 정확히 아는 것과 또한 나아가 과거를 통해 앞으로의 시대에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한다면 사료는 역사 수업에서 매우 중요한 교재가 된다. 단순 암기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 의미를 찾아내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도의 정보화 사회인 현대사회는 정보의 바다라고 불릴 만큼 막대한 정보량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젊은 층들은 일상생활 곳곳에서 영상매체, 뉴미디어 등으로부터 수많은 정보를 접하고 빠른 속도로 그것을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자료의 활용은 정보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디지털콘텐츠를 활용한 역사 수업은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시공간적인 제약과 딱딱한 텍스트 중심의 교과서에서 벗어나 과거의 역사를 바로 옆에서 보는 것처럼 생생한 자료를 접함으로써 교사와 학생, 과거와 현재사이의 끊임없는 대화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료 및 디지털콘텐츠를 수업시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자료들의 적극 활용을 통해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역사적 사건의 흥미 및 이해와 사료를 다루는 능력, 역사적 사고력 향상 등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사료 읽고 질문하며, 깊게 탐구하는 역사수업』(김세윤, 방지원)
『패림』권10, 순조기사, 신미 12월 21일
한국사 교과서 – <홍경래의 난>
[네이버 지식백과] 디지털 콘텐츠 [digital contents] (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 2011. 1. 20., 일진사)
오연미(2009), 『역사수업에서 역사영화 활용의 일례』
경상북도 교육청 『학생활동중심수업 톡톡 수업이야기』
한겨레 기사 -“학생들 졸음 막으려‘역사 사진’활용해 재미나게”곽윤섭 기자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27865.html#csidx1e2e7975b5264
한겨레 기사 - “말 없는 5분 지식동영상이 교실을 바꿨어요.”김청연 기자
이미지자료 – EBS 역사채널e 다시보기
장지혜,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역사적 이해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안』 p.44
황홍섭,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영상 매체의 개발』,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세미나 자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