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피해경험이 아동청소년의 정시건강에 미치는 영향
tlqpddl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Ⅱ. 가정폭력과 정신건강
1. 아내학대와 아동학대의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2.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3. 가정폭력에의 노출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4. 성별에 따른 영향 차이
Ⅲ. 학교폭력과 정신건강
1.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의학적 후유증 사례 분석
2.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정신건강 및 자살생각과의 상관관계
3.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이 학교적응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4. 성별에 따른 영향 차이
Ⅳ. 사이버폭력과 정신건강
1. 사이버폭력 실태
2. 청소년의 사이버인권침해 경험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차이
3.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과 정서조절
4. 성별에 따른 영향 차이
Ⅴ. 결론 및 시사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2007년 이후 10년 넘게 대한민국 청소년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이다. 2018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동안 자살로 죽는 청소년은 운수사고로 사망한 청소년보다 2배 이상 많았다(통계청, 2018). 또 2010년 국내 청소년과 외국 청소년의 자살 현황을 비교하면 한국의 청소년 자살률은 10만 명당 8.3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치인 6.8명보다 높게 나타났다(우경연, 2014). 통계에서 나타나듯 대한민국에서 청소년들의 높은 자살률은 오래 전부터 중요한 사회 문제로 다루어져 왔다.특히 학교폭력과 가정폭력, 사이버폭력 등 폭력에 따른 아동·청소년들의 자살은 뉴스와 신문에 보도 되면서 늘 사회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2017년 6월 울산에서 한 중학생이 청소년 상담센터 옥상에서 뛰어내려 사망했다. 당시 13살 중학생이었던 A군은 동급생으로부터 지속적인 괴롭힘을 당해왔던 것으로 밝혀졌다. A군의 동급생들은 신체적 폭행을 가했고, 타 지역에서 전학 온 A군의 말투를 따라하며 놀렸다. A군은 같은 해 4월 학교 복도에서 뛰어내리려다 제지당했고, 그 후 A군은 청소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상담을 받아 왔다. 학교폭력위원회에서 A군의 정신과 치료전력을 이유로 동급생들의 학교폭력협의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렸고, 이에 실망한 A군은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했다.(김창배, 2017).
2003년 11살짜리 어린아이 B군이 아파트 10층에서 투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 B군은 아버지의 학대로 인해 팔이 부러지고 머리가 함몰되는 등 지속적인 학대를 경험을 하여 위탁가정에 맡겨져 있던 상태였다. 학대의 경험으로 B군은 아버지에 대한 트라우마를 가지고 아버지를 만나는 것에 대한 상당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위탁모가 ‘아버지에게 돌려 보내겠다’고 말하자 그는 집을 나가 자살을 선택했다(정대하, 2003).
기술 발달에 따라 모바일 기기가 모든 사람들에게 보급이 되고,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면서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폭력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2018년 7월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C양은 극단적이 선택을 했다.
참고 자료
김서영 ∙ 오인수, 2017. “학교폭력 피해 중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교우관계가 미치는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한 종단매개효과 분석”, 『중등교육연구』 2017, 65(2), 325-356.김연옥 ∙ 박인아, 2000. “가정폭력의 유형별 관련성과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한국가족복지학』5(0): 103-127
김재엽 ∙ 장용언 ∙ 서정열 ∙ 박지민, 2014.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청소년복지연구』16(2): 83-110
김희수 외, 2006.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이 학교적응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한국 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24: 79~97
박현정 ∙ 홍나미 · 정익중, 2014. “방임과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교사, 친구애착의 매개효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청소년복지연구』16(4): 319-346
송동호 외, 1997.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의학적 후유증에 관한 사례”『소아·청소년 정신의학』8(2): 232~241
우경연, 2014. “위기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심리치료”
이성식 ∙ 이지선 · 정소희, 2018. “사이버불링의 위험요인들의 작용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와 성별차이 -카카오톡 이용자를 중심으로-”『한국범죄심리연구』14(1): 97-114
이지현, 2017. “초기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발달자산의 조절효과”
장미 ∙ 조아미, 2006. “청소년의 사이버인권침해 경험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차이”, 『미래청소년학회지』 Vol.3, No.2 1-17
전홍진, 2012. “우울증과 자살역학 연구”, 『대한의학협회지』55(4): 322-328
정기원 ∙ 서현숙, 2007. “가정폭력에의 노출이 청소년의 비행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청소년학연구』14(5): 49-73.
정시영, 2018. “학교폭력예방정책 문제정의의 변화와 정책수단의 선택”
정여주 ∙ 김동일, 2012.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과 정서조절” 『상담학 연구』 vol.13, No.2, 645-663
정익중 ∙ 이지언, 2012.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성별 차이를 중심으로”『한국청소년연구』23(2): 217-242
조춘범 ∙ 조남흥, 2011.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청소년학연구』18(4): 75-102.
최미례 ∙ 이인혜, 2003.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22(2): 363-383.
최장원 ∙ 김희진, 2011.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청소년학연구』18(1): 73-103.
한상영 ∙ 전용관, 2012. “학교폭력 피해 경험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신체적 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 영향”『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13: 5155~5162
김창배, 2017. “울산 중학생 자살사건, 결국 학교폭력 결론”, 『한국일보』.
백운, 2018. “사이버 폭력'에 목숨 끊은 학생…죽음까지 조롱한 가해자”, 『SBS뉴스』.
장원석, 2018. “끝없는 괴롭힘 '사이버 불링'...학교 폭력 대책은?”, 『YTN』
정대하, 2003. “학대공포 떨던 초등5년생 투신 자살”, 『한겨례』.
최정훈, 2018. “‘삼촌패키지’ 350만원...학교폭력 해결사 찾는 부모들”, 『이데일리』
통계청, 2018. “2018 청소년 통계“, 『통계청』.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 현상의 문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13페이지
생태체계이론으로 본 청소년 노동문제 10페이지
학교 밖 청소년 실태 및 지원에 관한 연구 28페이지
졸업논문_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여가활동만족에 관한 연구 16페이지
아동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중독에 대한 연구 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