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TV 프로그램 PPL(간접광고)의 긍정적 활용방안
센센니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 TV 프로그램 PPL(간접광고)의 긍정적 활용방안목차
I. 서론II. I. PPL(간접광고)의 정의 및 사용 현황
1. PPL(간접광고)이란 의미
2. PPL(간접광고)의 유형
III. TV 프로그램에서의 PPL 사례와 문제점
1. TV 프로그램에서의 PPL 사례
2. TV 프로그램 PPL의 문제점
Ⅳ. PPL 관련 규제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1. PPL 관련 규제현황
2. PPL의 문제점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
Ⅴ. 결론
본문내용
철저하게 기업 중심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광고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그런데 직접광고 노출의 횟수가 증가면서 광고계 전반은 위기를 맞게 된다. 광고 수용자들이 ‘직접광고’의 잦은 노출에 대해 혼잡(Advertising clutter)을 느끼고 광고를 회피하는 성향(Zapping)을 갖게 된 것이 그 이유이다. 이때, 광고 미디어가 겪게 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간접광고(PPL)이다. 직접광고의 부담감을 줄여준 덕분에 최근 몇 년 사이 PPL은 우리 사회에 흔적도 없이 스며들어서 어느새 정착하게 되었다. 이런 사회에서, TV, 라디오, 영화 등 대표적인 대중 매체에서 간접광고(PPL)의 등장은 당연한 것이 되었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등장, 휴대전화의 스마트화로 PPL이 삽입되는 공간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해졌다. 현대인들에게 이들 미디어 매체는 삶의 전반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PPL이 영향을 끼치는 사회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PPL이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PPL에는 적절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광고가 이윤의 추구를 목적으로 하기에 요구되는 적절성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 실정이다. 특히, 가장 많은 사람이 시청하는 TV의 경우, 과도한 PPL이 오히려 예능 프로그램·드라마의 맥락을 해치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시청자들의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다. 하지만 PPL이 적절하게 배치된다면, 시청자들이 우려하는 ‘볼 권리’의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PPL이 광고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제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서 2012년에 발표한 ‘PPL 광고 효과 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 PPL 시청자의 35.4%가 해당 브랜드의 상표를 기억했다. 또 53.9%는 해당 제품에 대한 구매의향이 있다고 밝혔고, 59.3%는 구매의향이 있다고 말한 제품에 대한 PPL이 프로그램과 자연스럽게 어울린다고 답했다.
참고 자료
김동혁, 매체 내의 간접광고(PPL)에 대한 고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31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09년 10월.김봉현, TV 프로그램 내 간접광고로서의 PPL 운용 및 규제에 관한 소비자 인식조사연구, 광고학연구 16권 2호, 한국광고홍보학회, 2005년 6월.
김재휘·이해양, TV 드라마에 의해서 유발된 정서가 PPL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4권 2호, 한국심리학회, 2013년 12월.
박수경·전범수, PPL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충성도가 지상파 오락 프로그램 평가에 미치는 영향: 개그콘서트, 무한도전, 런닝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년 12월.
신일기, 간접광고(PPL)를 통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고려사항, 마케팅 2011 7 제45권 제7호, 한국마케팅연구원, 2011년 7월.
양문희, 지상파 방송 PPL 규제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시청자 만족도 및 해외시장 경쟁력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8권 1호, 문화방송(MBC), 2007년 6월.
유승엽, PPL 속에 제시된 상표에 대한 모자이크 처리의 간접광고 효과, 미디어 경제와 문화 1권 4호, SBS문화재단, 2003년 11월.
이용재, TV 드라마 PPL에 대한 수용자 태도 연구, 언론과학연구 6권 2호, 한국지역언론학회, 2006년 6월.
이희복·차영란,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5호,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 5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시청자의 매체별 광고 회피 경향에 관한 특별기획조사, 2015년 12월.
한성희·여정성, TV 프로그램 속의 PPL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와 영향력 분석, 소비자학연구 18권 1호, 한국소비자학회, 2007년 3월.
Gupta. P. B. & Lord. K. R.,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s of prominence and mode on audience recall,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No. 20 Vol. 1, 1998.
Russel, C.A., Toward a framework of Product Placement : Theoretical Propositions, Advance in Consumer Research No. 25, 1998.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2728966615833800&mediaCodeNo=257&OutLnkChk=Y (최종접속일: 2018. 6. 13. 2:00): 최은영 기자, 성공한 PPL, 실패한 PPL…‘도깨비’ 최고 ‘태후’ 최악, 이데일리, 2017. 2. 24. 11:40.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26/2017012602070.html (최종접속일: 2018. 6. 12. 11:36): 윤민혁 기자, '도깨비' 성공에 PPL 참여 기업들 함박웃음…삼성전자만 쓴웃음 까닭은, 조선비즈, 2017. 1. 27. 14:00.
https://www.huffingtonpost.kr/2015/09/02/story_n_8080348.html (최종접속일: 2018. 6. 12. 14:53): 강병진 기자, '용팔이'에 등장한 주원과 김태희의 '직방' PPL,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5. 9. 3. 6:56.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425000261 (최종접속일: 2018. 6. 12. 15:09): 박지원 기자, 드라마 PPL의 나쁜 예…'귓속말' 이보영 선스틱 "너도 바를래?", 뉴스핌, 2017. 4. 25. 17:19.
http://nemos.tistory.com/527 (최종접속일:2018. 6. 12. 9:43)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93queen&logNo=22088296039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최종접속일: 2018. 6. 12. 10:29)
https://blog.naver.com/zahir_wud/221232176606 (최종접속일: 2018. 6. 12. 15:59)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909350&memberNo=36645352 (최종접속일: 2018. 6. 12. 16:18)
http://www.campmnc.com/bbs/board.php?bo_table=portfolio&wr_id=85 (최종접속일: 2018. 6. 12.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