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칼뱅주의 윤리와 인권사상

신학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8.08.29
최종 저작일
2015.12
7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논문은 근대인권이념 발전에 대한 칼뱅주의의 공헌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칼뱅주의의 언약사상을 주목한다. 언약사상에는 칼뱅주의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하나님 주권이 강조되면서도 동시에 인간의 자유가 부각된다. 특히 양심을 하나님의 영역으로 봄으로써 양심의 자유를 무엇보다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양심의 자유를 위한 투쟁을 윤리적 책임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칼뱅주의자들은 하나님의 법을 실현시키는 일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여기서부터 인간의 권리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들이 칼뱅주의가 근대인권담론 형성에 공헌한 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칼뱅의 언약신학을 살펴보고, 그의 정치윤리를 연구하였다. 칼뱅은 하나님과의 인간의 언약을 통하여 인간의 자유와 책임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자유와 책임을 정치영역에 적용하기 위하여 칼뱅은 법치를 강조하였다. 언약을 통한 법치의 강조는 이후 칼뱅주의자들의 저항권과 인민주권론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베즈와 알투시우스이다. 베즈는 칼뱅의 저항이론을 수용·발전시켜 시민적·정치적 권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저항권 이론을 전개하였다. 알투시우스는 공생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계약이론을 통하여 인민주권론을 도출하였으며, 입헌주의를 통하여 권리 개념을 정치적으로 적용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칼뱅주의 윤리의 발전과정을 시대적 상황과 함께 연구함으로써 칼뱅주의가 시대에 따라 변화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발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변화하는 시대 가운데 인권에 대한 교회의 책임을 생각하고자 한다.

목차

1. 서론1
가.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1
나. 연구방법 및 범위8

2. 칼뱅의 언약신학11
가. 하나님과 인간의 언약11
나. 자유의 언약13
다. 언약의 율법16

3. 칼뱅의 정치윤리20
가. 언약과 정치윤리20
1) 언약과 제도20
2) 제도와 자유22
나. 양심의 자유와 두 왕국: 초기 사상25
1) 양심의 자유와 교회25
2) 양심의 자유와 국가27
다. 도덕법과 두 왕국: 후기 사상30
1) 정치사상의 변화30
2) 도덕법과 교회법31
3) 도덕법과 국가법33
4) 언약파기와 저항36

4. 칼뱅주의와 근대적 인권사상의 발전40
가. 베즈의 저항권 이론 40
1) 성 바르톨로메오 학살40
2) 법치와 정치언약42
3) 저항이론46
4) 베즈의 의의와 한계50
나. 알투시우스의 인민주권론52
1) 시대적 상황52
2) 공생과 정치계약54
3) 인민주권론58
4) 알투시우스의 의의와 한계64

5. 결론67
가. 연구요약 및 평가67
나. 제언69

참고문헌71

본문내용

IV장에서는 칼뱅주의의 언약신학과 윤리가 근대 인권사상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특히 인권의 두 가지 주제만을 다루었는데 하나는 저항권이고 둘째는 인민주권론이다. 먼저 많은 칼뱅주의자들이 목숨을 잃은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1572)을 목격한 베즈는 칼뱅에게서 희미하게 나타났던 정치적 저항의 개념을 언약신학의 틀에서 발전시켰다. 베즈는 ‘정치언약’으로 인해 하나님과 통치자와 인민, 이 삼자간의 조건부 계약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 조건은 ‘하나님의 법’을 실현하는 조건이었다. 따라서 베즈역시 칼뱅이 강조했던 ‘법치’를 강조하였다. 인권사상의 발전을 위한 베즈의 공헌은 칼뱅에게서 불분명하게 나타나는 폭군의 정의를 명확하게 한 것과 저항의 범위를 인권의 측면으로 확대시킨 것이다. 칼뱅이 단순히 십계명의 전반부에 근거한 ‘양심의 자유’를 위한 저항을 말했다면, 베즈는 십계명 후반부에 근거한 인간의 ‘자연적 권리’를 위한 저항까지 말하였다. 비록 베즈 역시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의무를 강조함에 따라 인간의 권리 개념이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이러한 의무에서 권리를 도출하는 것은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알투시우스는 이러한 권리 개념을 도출하여 정치적으로 적용시키고자 시도했던 인물이다. 알투시우스는 칼뱅주의 전통을 따라 십계명으로부터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들을 도출했으며,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권리 보장을 위해 국가를 인민의 계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그는 주권의 소재를 인민으로 봄으로써 근대적 의미의 민주주의 기본원리를 제시하였다. 비록 그의 인민주권론이 주권의 근원을 하나님으로 본다는 점에서 루소의 인민주권론과 차이가 있지만, 오히려 이러한 차이는 루소의 주장이 자칫 전체주의로 빠질 수 있는 오류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 알투시우스가 근대적 인권담론에 기여한 점은 인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입헌주의’를 주창하였다는 점이다.

참고 자료

김형민. 하나님의 권리와 인간의 권리. 성남: 북코리아, 2011.
박명규. 국민·인민·시민. 서울: 소화, 2009.
양낙흥. 개혁주의 사회윤리와 한국교회.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99.
원종천. 청교도 언약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오덕교. 청교도 이야기. 서울: 이레서원, 2002.
이오갑. 칼뱅의 신과 세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이형기. 종교개혁 신학사상. 서울: 장로회신학대학, 1984.
송호근. 인민의 탄생. 서울: 민음사, 2012.
장호광. 칼빈의 신학과 기독교 윤리. 안양: 잠언, 2009.
Amesbury, Richard & Newlands, George M. Faith and Human Rights, 신앙과 인권. 곽호철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4.
Augustinus. De Libero Arbtrio , 자유의지론. 박일민 옮김. 서울: 야웨의말씀, 2010.
Bèze, Théodore de. Du droit des Magistrats, “신하들에 대한 위정자의 권한”. 박건택 옮김. 종교개혁사상선집. 서울: 솔로몬, 2009.
Bodin, Jean. Les six livres de la République(1576), 국가론. 임승휘 옮김. 파주: 책세상, 2005.
Brueggemann, Walter. The Prophetic Imagination, 예언자적 상상력. 김기철 옮김. 서울: 복있는사람, 2014.
Bury, John B. A History of Freedom of Thought, 사상의 자유의 역사. 서울: 바오,2005.
Calvin, Jea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36), 기독교강요: 초판. 양낙흥 옮김.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8.
.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1559), 기독교강요. 고영민 옮김. 서울: 기독교문사, 2007.
Doumergue, Emile. Le Caractère de Calvin, 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 이오갑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Hegel, Georg. Philosophie des Rechts, 법철학. 임석진 옮김. 파주: 한길사, 2012.
Hobbes, Thomas. Leviathan(1651), 리바이어던. 최진원 옮김. 파주: 동서문화사, 2009.
Hunt, Lynn. Inventing Human Rights: A History, 인권의 발명. 전진성 옮김. 파주:돌베개, 2009.
Ishay, Micheline. The history of human rights: from ancient times to the globalization era , 세계인권사상사. 조효제 옮김. 서울: 길, 2008.
Jellinek, Georg. Die Erklö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 (1927), 인권선언논쟁. 김효전 옮김. 서울: 법문사, 1991.
Kuyper, Abraham. Lectures on Calvinism, 칼빈주의 강연. 김기찬 옮김. 고양: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14.
Leith, John H. John Calvin's Doctrine of Christian Life, 칼빈의 삶의 신학. 이용원 옮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Lillback, Peter A. The Binding of God, 칼빈의 언약사상. 원종천 옮김.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9.
Locke, John. Two Treatises of Government, 통치론. 김현욱 옮김. 서울: 동서문화사, 2008.
Luther, Martin “사순절설교”(1522), 루터선집 10. 지원용 옮김. 서울: 컨콜디아사, 1984.
McNeill, John T. the History and character of Calvinism, 칼빈주의 역사와 성격.정성구·양낙흥 옮김.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1.
Meeter, Henry. 칼빈주의 기본 사상, 박윤선·김진홍 옮김.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0.
Menke, Christoph & Pollman, Arnd. Philosophie der Menschenrechte zur
Einführung , 인권철학입문. 정미라·주정립 옮김. 파주: 21세기북스, 2012.
Moltmann, Jürgen. Gott im Projekt der modernen Welt, 세계 속에 있는 하나님,곽미숙 옮김. 서울: 동연, 2009.
Mühlen, Karl-Heinz zur. Reformation und Gegenreformation,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정병식·홍지훈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Niesel, Wilhelm. Die Theologie Calvins, 칼빈신학 강의. 이형기·조용석 옮김. 서울:한들, 2011.
Sabine, George H. & Thorson, Thomas. A History of Political Theory, 정치사상사 1, 성유보·차남희 옮김. 서울: 한길사, 1997.
Skinner, Quentin. the Foundations of Modern political thought,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 박동천 옮김. 서울: 한길사, 2004.
Sobrino, Jon. Jesucristo Lieberador, 해방자 예수. 김근수 옮김. 서울: 메디치, 2015.
Rousseau, Jean-Jacques. Du Contrat social (1762), 사회계약론. 김중현 옮김. 파주:펭귄클래식코리아, 2015.
Volf, Miroslav. A Public Faith, 광장에 선 기독교. 김명윤 옮김. 서울: IVP, 2014.
Wendel, Francois. Calvin. Sources et Evolution de sa Pensèe religieuse, 칼빈:그의 신학사상의 근원과 발전.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11.
Witte, John, Jr. From Sacrament to Contract: Marriage, Religion, and Law in the Western Tradition, 성례에서 계약으로: 서양 혼인법의 역사와 신학. 정경화·류금주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Zweig, Stefan. Castellio gegen Calvin oder Ein Gewissen gegen die Gewalt, 다른 의견을 가질 권리. 안인희 옮김. 서울: 바오출판사, 2010.
Althusius, Johannes. Politica mehodice digesta et exemplis sacris et profanis illustrata (1614). trans., ed. Frederick S. Carney. Indianapolis: Liberty Fund, 1995.
Calvin, Jean. Concerning the Eternal predestination of God , trans. J, K. S. Reid. Cambridge: James Clarke, 1982.
Kelly, Douglas F. The Emergence of Liberty in the Modern World . New Jersy:P&R, 1992.
Joas, Hans. The Sacredness of The Person: A New Genealogy of Human Rights.Washington: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13.
Franklin, Julian H., trans., ed., Constitutionalism and Resistance in the Sixteenth Century. New York: Western Publishing Company, 1969.
Morgan, Edmund S., ed., Puritan Political Ideas 1558-1794.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03.
Tamburello, Dennis E. Union with Christ.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4.
Witte, John, Jr. the Reformation of Right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Zwingli, Ulich. Zwingli and Bullinger, trans. G. W. Bromiley.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53.
신학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칼뱅주의 윤리와 인권사상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