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덕환, 中美關系?化와 韓半島平和,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 김흥규, 「한중수교 20년과 한중관계 평가: 미래 한중관계를 위한 방향과 더불어」, 2012.
· 김흥규,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박근혜 대통령 방중의 의의」 , 연구센터 코리아컨센서스, 2013.
· 김욱성, 「중국내 탈북자 인권 관련 비정부기구 활동의 효율성 평가」, 2009.
· 고유한, 「오바마 당선 이후 북미관계와 한반도 정세」, 『통일문제연구 제20권』, 제2호, 평화문제연구소, 2008.
· 나영주, 「북핵문제와 북·중동맹」, 2013.
· 이상숙, 「핵실험과 북중관계 123차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대응비교」, 2013.
· 문정인, 중국의 내일을 묻다 , 삼성경제연구소, 2010.
· 박병광,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KDI 북한경제리뷰』, 3월호, 국가안보전략연구소, 2013.
· 박병광, 후진타오시기 중국의 대북정책 기조와 북핵 인식, 『통일정책연구』, 제19권 제1호, 2010.
· 박병광, 김정은 시대의 북한과 중국, 『KDI 북한경제리뷰』, 2012.
· 박병광, 「김정은 시대,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 전망」, 『주요국제문제분석』, 26호,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2.
· 박병철, 「미행정부의 북핵정책에 있어 변화와 연속성」, 『통일전략 제13권』, 제2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 변종헌, 「G2시대의 동북아와 새로운 한중관계의 모색」, 한국 국방 연구원, 2012.
· 신정승, 「한?중관계의 바람직한 방향」, 외교 , 제100호, 2012.
· 신상진, 「중국의 대북한정책」, 민족통일연구원, 2010.
· 안성호, 「북중경협 실태와 향후 전망에 대한 연구」,충북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3
· 이남주, 「북중관계 변화의 동인과 현 위치- “전략적 상호의존 관계”의 동학」, 2013.
· 이기현, 「김정은 시대 중국의 딜레마와 대북정책」, 2012.
· 이기현, 「중국의 탈북자 정책 동학과 한국의 대응전략」 통일정책연구, 2012.
· 이상숙, 「김정일-후진타오 시대의 북중관계: 불안정한 북한과 부강한 중국의 비대칭협력 강화」, 2010.
· 이태환,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평가와 전망」 세종정책연구 제6권2호, 세종연구소, 2010.
· 이영학, 「북한의 세 차례 핵실험과 중국의 대북한 정책 변화 분석」, 국제정치논총, 2013.
· 이춘복, 「북한 3차 핵실험 후 중국의 대응과 북중관계」, 2013, 제주평화연구원.
· 왕임동, 「북한외교정책의 방향 - 냉전이후 시대를 중심으로」, 『동북아연구』, 12권,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9.
· 장용석, 「북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 통일과 평화, 2012
· 장용석,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전략」, 통일문제연구, 2012
· 조용성, 「중국의 미래 10년-시진핑 시대의 중국을 조망하다」, 2012.
· 조영남, 「중국의 꿈」, 믿음사, 2013.
· 조봉현, 「김정은 체제, 북중관계 변화 예고 : 한국-북한-중국 3각 협력의 구상 필요」, 포스코경영연구소, 2012.
· 정덕구, 추수롱, 「기로에 선 북중관계」, 중앙북스, 2013.
· 정주선, 「탈북자 문제의 인식2」, 프리마북스, 2011.
· 채규철, 「중국의 대미관계와 북핵문제 해결과정에서의 역할」, 『사회과교육 제45권』, 제1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6.
· 한석희, [국제정치 이론에서 본 중미관계의 미래], EAI중국연구패널 보고서, 2008.
· 한석희, 「중국 시진핑 정부의 출범과 북·중 관계전망」, 한국수출입은행, 2013.
· 백승주. 「북한의 대 중국 체제유지정책 평가와 전망」, 『사회과학연구 제11집』,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5.
· 송종규. 「북한과 중국의 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