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폐렴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18.01.22
- 최종 저작일
- 2016.03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문헌고찰
2)간호과정
3)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본문내용
1. 폐렴의 정의
폐는 우리 몸에서 필요한 산소를 받아들이고 탄산가스를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곳이다. 폐렴은 이러한 폐 조직에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병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기관지 말단의 공기 주머니에 고름과 삼출물이 차게 되는 심한 감염 질환이다. 이 중 가장 흔한 것은 세균성과 바이러스성 폐렴이다.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폐 증상과,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2. 폐렴의 원인
소아폐렴의 원인균 / 바이러스
폐렴의 위험인자
- 폐렴구균(pneumococcus)
-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 연쇄상 구균(streptococcus)
- 녹농균(Pseudomonas)
- 대장균(Escherichia coli)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influenza virus)
-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 에코바이러스 (ECHO virus)
- 라이노바이러스
1) 신생아와 유아
2) 항암제 사용
3) 흡연
4)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질환
5) 전신의 저항력 저하
6) 상기도 감염
7) 만성 기도폐쇄
8) 면역기능 저하된 사람
폐렴은 세균과 바이러스 등 급성의 감염성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외 곰팡이, 기생충 등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알레르기가 폐렴의 원인이 되는 수도 있고, 가루약 등을 잘못 복용하여 흡인성 폐렴이 생기기도 한다. 우리가 숨 쉬는 공기에는 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 많이 들어있지만 그런 물질이 폐에 들어온다고 해서 모두 폐렴이 생기는 것은 아니고, 폐에는 그런 물질을 밖으로 내보내고 병을 일으키지 못하게 처리하여 병에 걸리지 않게 방어하는 능력이 있는데 그런 방어력이 떨어진 사람에서 폐렴이 잘 생긴다.
참고 자료
폐렴의 이해/ UUP/ 우준희/ 1998년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홍경자 외/ 수문사
원리와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송지호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조경숙 외/ 2014년
최신 기본간호학(상)/ 송경애 외/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하)/ 송경애 외/ 수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김금자 외/ 현문사
Druginfo : http://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