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제기
사람들은 예나 지금이나 아름다움을 추구해왔고 비록 시대에 따라 미의 기준은 변화되어 왔지만 미에 대한 욕망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외모가 경쟁력’이라는 유행어가 생길만큼 외모지상주의는 사회에 만연하게 퍼져있는 게 현실이다. 그의 예로, 취업 성형이 있는데 한 리크루트 회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설문조사대상자 중 98%인 1,188명이 외모가 취업에 영향을 끼친다고 답을 했고, 이들을 선발한 기업 인사담당자의 94%인 549명은 채용 시 외모를 고려한다고 답했다고 한다. 한 스타트업 회사는 인턴 채용공고 자격요건에 ‘C컵이상, 지성과 미모를 겸비’(헤럴드경제,2015)라고 기재됐다고 하는데 이는 단적인 예지만, 우리 사회에 얼마나 외모지상주의가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는지 실감하게 한다. 우리 사회에서 외모가 중요한 가치가 된 데는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TV, 영화, 인터넷 등 미디어의 발달은 우리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었지만,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망을 불러일으켜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참고자료
· 이혜경. "여자고등학생의 성형수술 욕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 17.2 (2011).
· 권순택. “1시간짜리 성형광고, ‘렛미인5’ 방송 중단하라. 미디어스
· 김인숙. "성형광고 노출, 성형경험, 외모기준의 내면화, 제 3 자 효과가 성형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홍보학 연구 19.4 (2015): 214-234.
· 민지현. "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외모 지상주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7): 17-1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