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9권 / 1호
· 저자명 : 김미옥, 정민아
목차
1. 발달장애인의 자립, 가능한가?
2. 발달장애인 자립의 개념적 모델로서의 ‘지원생활모델'
3. 지원생활에 대한 오해와 진실
4. 외국의 지원생활모델 적용 사례
5. 지원생활 ‘실천’의 핵심 요소
6. 한국 장애인복지에서의 지원생활 적용가능성 모색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개념적 모델로서 지원생활모델을 소개하고, 이의 한국 장애인
복지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원생활모델의 개념 및 그
의미, 원칙을 살펴보고, 이 모델이 먼저 도입된 서구 서비스 현장에서 보고된 지원생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함께 다룸으로써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지원생활모델이 발달장애인 자
립에 적용되는 실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영국의 지원생활네트워크와 호주의 지원생활유형을 살펴보았
다. 이와 함께 영국과 호주에서 개발․사용되고 있는 지원생활 매뉴얼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난 지원
생활 실천의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개념적 모델로서
지원생활모델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제도적, 기관, 이용자 차원에서의 향후 적용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가능성과 함의를 논의한 연구로서, 향후 관련분야의 기초
자료로서 기여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main concepts of Supported Living(SL)
model, very few of which hav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 Korea, explore the
potential to employ SL model, and draw the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S.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al background, main concepts, and principles of
SL model, compared SL with supported housing and explained the features of SL
model. Additionally, this study reviewed SL schemes in the UK and Australia to
understand how SL schemes impact the lives of people with DD. Furthermore,
this study addressed the contents of SL manuals used in the UK and Australia
and identified the core aspects of SL practi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L as the
conceptual model for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SL model in S. Korea in terms of the national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D, service agencies, and service us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SL model
as a conceptual model for the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D, potentials to
employ SL model, and its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 Korea. SL model and its application showed that SL model is
effective and flexible in supporting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
Findings and implications regarding SL model could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upported living system to improve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