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9권 / 1호
· 저자명 : 강선경, 최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가 경험하는 양육경험을 바탕으로 그동안 사각지대에
있던 중증뇌병변장애인의 생활을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어머니의 장애자녀 양육
경험 연구에서 벗어나 아버지만의 고유한 양육경험을 Giorgi 현상학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 4명이 참여하였고, 일 대 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
집하였다. Giorgi(2004)의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양육
경험의 명확한 주제는 ‘숯 덩어리 가슴’, ‘개똥밭에서 살아나기’, ‘삶의 폐허’, ‘현실에 대항하는 자세’,
‘가족 생활양식의 구성’, ‘업(業)으로서의 자녀’, ‘부성 바로 세우기’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장애자녀
를 양육하는 아버지의 경험을 통해 장애자녀의 어려움과 구조적 문제들을 논의했고, 사회복지 실천차
원에서의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arental experiences of the fathers who reared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Since a brain lesion is considered a lifelong disability,
children with brain lesions need the medical and social management through
their entire life. Due to the lack of specialized caring servic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for such children, their families are forced to take care of them.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fathers who are rearing the children
with brain lesions. For this purpose, four fathers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 to one in-depth interviews. Using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stantial themes were "charred heart", "surviving the hardships",
"the ruins of life", "attitude against reality", "the unique composition of family
life", "children as fate", "father's love." Based on the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cure the psychological and institutional difficulties
and to provide supportive services for the fathers and families who care the
children with brain le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