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개념의 발전과 규범적 긴장: 교육적 지향의 탐색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정치학연구 / 22권 / 2호
ㆍ저자명 : 차동춘
ㆍ저자명 : 차동춘
목차
Ⅰ. 서론
Ⅱ. 왜 권력인가?
1. 권력에 대한 정의의 문제
2. 왜 권력인가?
Ⅲ. 권력 담론의 발전
1. Weber의 권력 개념
2. 권력에 대한 다원주의와 엘리트주의 논쟁
3. 이차원적 권력(Two dimensional view of power)
4. 급진 삼차원적 권력 개념(A Radical Three-Dimensional View of Power)
5. 권력의 구조적 견해
6. Foucault의 권력/지식: 권력의 후기구조주의적 개념
Ⅳ. 권력개념의 규범적 긴장과 의사소통행위이론의 적용
1. 권력 개념의 규범적 지향들과 모순
2. 포스트모던적 권력 규범의 탐색: 권력분석과 Habermas적 접합
Ⅴ. 교육적 함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권력 담론의 개념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교육적 행위를 위한 규범적 지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대적 권력 개념으로 1차원, 2차
원, 3차원적 권력, 구조주의적 권력, 그리고 Foucault의 후기구조주의적 권력 담론에 대
해 살펴보고, 각 권력 개념들 간의 교육적 규범 지향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개념을 도입해 권력 개념들 간의 규범적 차
이에 대한 접목을 시도하고 교육적 기획을 위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
과, 1) 권력 개념의 발전은 인간의 자유와 행동을 제한하는 사회적 경계들을 벗기는 과
정이었으며, 그렇지만 2) 교육적 행위를 위한 규범적 지향에 있어서 근대적 권력과 후
기구조주의적 권력 개념 간의 차이점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아울러, 3) 이러한 차이는
절차론적 의무론적 담론윤리인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개념을 통한 해결을 시
도해 볼 수 있었다.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의 권력연구, 미시정치학, 교육정책
연구, 리더쉽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보았다.
영어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processes of the conceptual developmentof power and the possibility of locating a normative ideal for a critical
education. This study first outlines and analyzes modern discourses of power
such as pluralist, elitist, radical, and structural conceptions of power, and
then contrasts them with the Foucaultian discourse of post-structural
concept of power. This study argues that an apparent unresolved normative
contradiction exists between modern conceptions of power and that of the
post-structuralist in their normative implications on educational projects. In
order to excavate the normative and practical ideals of the post-structural
conception of power and place it in line with critical perspectives of
education, this study introduces Habermasian procedural and deontological
discourse ethics. By doing so, this study suggests that Foucaultian idea of
power along with those modern power concepts can help Habermasian
discourse ethics happen creating ideal speech situations in our educational
public sphere, promoting freedom and emancipation of those participating
agent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several implications on future empirical
studies of power, micropolitics of education, sociology of educational policy,
and moral lead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