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정치학연구 / 18권 / 2호
ㆍ저자명 : 유성상
ㆍ저자명 : 유성상
목차
요약I. 서론
II. 학생인권에 대한 개념적 이해
1. 인권과 인권의식의 개념
2. 학생인권과 인권교육의 개념
3. 학생인권 관련 주요 선행 연구
III. 학생인권의 주요 쟁점
1. 학생인권 논의의 등장배경
2. 학생인권의 주요 쟁점 내용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이 글은 최근 쟁론화되고 있는 학생인권의 체계적인 교육정책 담론으로 형성되어가도록 쟁점을분석하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학생인권을 신장하는 것이 ‘교육적’인 것을 주장하는 교
사들의 교권과 배치하는 것인지, 여전히 미성숙한 아이들에게 지나친 배려가 아닌지에 대한 질문
을 제기하였다. 주요한 쟁점으로는 다음 네 가지를 제기하였다. 첫째, 학생인권을 제한하는 것은
정당한가? 둘째, 학생인권과 교권은 대립하는 것인가? 셋째, 중등학생들은 미성숙한가? 넷째, 학생
의 정치적 의식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등이다. 결론적으로 학생인권은 어느 한 순간에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키워지고, 또 실천함으로써 제대로 누릴 수 있는 그 자체로 교육적인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ways that students human rights('SHR')would be developed to a systematic discourse by analysing the current issues
on SHR. For this, one main question is asked whether raising SHR is
contradictory to teachers' right to teach in schools, in which students are
considered as the immature who needs to be cared for. Four issues regarding
this question are raised. At first, 'can SHR be limited at any condition?';
second, does SHR stand in opposition to teachers' right?'; third, 'are
secondary school-aged students immature?; fourth, 'is it blamable to relate
SHR into any political intention?' In conclusion, SHR hardly happens to be
given at any moment, but is educated, raised, practiced, and formed by
consistent training and interactive actions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human rights are hihgly considered and respected. Then, HR is itself an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교육정치학연구"의 다른 논문
- 우리나라 대학의 사회적 연대 수준 탐색 - 고등교육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30페이지
- 국외 의과대학의 성공적인 교육과정 개편 전략에 관한 고찰19페이지
- 지역발전을 위한 고등교육정책의 새로운 비전과 방안의 탐색30페이지
- 교육감 선거 관련 신문사설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21페이지
- 자기주도학습을 평가요소로 반영한 입학사정관전형 사례 분석19페이지
-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의 변화과정에 따른 관련 쟁점의 추이 분석30페이지
- 중등 예비교사의 교직문화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적 분석24페이지
- 지방교육행정기관 총액인건비제도 시범 운영 평가에 관한 연구25페이지
- 교원정책 추진과 교직구조의 변화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25페이지
- 교육감 직선제의 쟁점과 개선방안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