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정치학연구 / 17권 / 3호
ㆍ저자명 : 안선회
ㆍ저자명 : 안선회
목차
요약I. 서론
II.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책 구조와 인과가설
1.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구조
2.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인과가설
III. 연구방법
IV.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책 인과가설 분석
1. 방과후학교와 e-러닝체제 구축 정책 인과가설 분석
2. 공교육 교육력 강화 정책의 인과가설 분석
3. 평준화제도의 보완 정책 인과가설 분석
4. ‘2008 대입제도 개선’을 통한 공교육 강화론 인과가설 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참여정부의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정책 인과가설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정책구조와
정책이 가정하고 있는 정책 인과가설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둘째,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
책이 가정하고 있는 인과가설이 타당한지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정책 인과가설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사교육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 정책인과가설에서 오류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정책인과가설 설정의 오류가 정책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사교육 수요를 공교육체제 내로 흡수하고, 학교의 교육력을 높
여 사교육비를 경감한다는 인과가설은 타당성이 있었다. 하지만, 학생 선발권을 갖는 특별한 학교
설립과 같은 평준화제도 보완을 통하여 사교육비를 경감한다는 인과가설과, 학생생활기록부 비중
증대와 상대평가 그리고 입학사정관제 등 대입제도 개선을 통해 사교육비를 경감할 수 있다는 인
과가설은, ‘공교육 강화’를 의도하였으나, 실제로는 공교육 강화가 아닌 ‘공교육 경쟁강화’, ‘교육경
쟁구조의 확대·강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공교육 경쟁 강화’ 현상은 입학경쟁전략으로서의 사교육
수요를 확대하여 사교육비 증가를 초래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제언으로는 사교육 수요 증대를 방지
하는 입학전형 정책 방안, 학교 교육력과 학생 학습력 신장 방안, 사교육 대체재 확충 방안과 사교
육 공급시장의 합리적 관리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 policy causal hypothesis for reducing privateeducation expenses i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to find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for future policy making. Specific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to find the policy causal
hypothesis of the policy for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i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Secon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odel. Third, to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policy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hypothesis. In order to addres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with the consumers of private education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re found to be some errors in the hypothesis and the errors occurr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ausal hypothesis mainly caused the failure of the policy.
Specifically, it was valid that the causal hypothesis explained how public education systems
could embrace the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and how people could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enhancing education power of schools. The hypothesis intended the
reinforcement of public education by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rough imorovement
of the standardization policy such as building special schools,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uch as increasing the weight of student record, relative
evaluation, and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However, the intention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the competition in public education and the enlargement of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education. This situation was rather found to lead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expanding the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as the strategies for college entrance competition.
Therefore, suggestions for future policy included an improved policy measure to prevent the
increase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to enhance education and learning power in schools, an
alternate ways to private education, rational management plans for private education 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