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연구 / 27권 / 1호
· 저자명 : 이봉주, 김영빈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소명의식 수준을 파악하고 소명의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9개교의 고등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자
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ANOVA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연구결과: 첫째, 소명의식 하위변인 중 초월적 부름에서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발견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소명의식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성숙도와는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고등학생의 소명의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변인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및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소명의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등 진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함으
로써, 추후 소명의식을 다루는 진로교육의 가능성 및 고려할 점을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call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general. Method: Distributed a survey to 306 high school students and
performed the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ir valid data by using
SPSS/WIN 20.0.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calling by genders or religion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calling as a
whole by genders or religions; however, among the subvariables of calling, transcendental calling indic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s and religion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calling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lling and career maturity. Conclusion: As a result,
all the subvariables of calling have been foun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variables of
career mat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