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의미 및 관계
Ⅲ. 평가기준 개발 과정에서 본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Ⅳ. 도덕과 성취기준의 개선을 위한 제언
Ⅴ. 결 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평가기준과의 관계 측면에서 본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지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가기준은 성취기
준에 근거해서 개발된 것으로, 성취기준의 도달점에 주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평
가기준과의 관계를 부각시켜 성취기준을 보면 성취기준이 원래 목표로 한 바를 얼마나 효과
적으로 달성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현 도덕과 성취기준은 추상성과 포괄성
이라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 도덕과 교육
과정 성취기준에서 사용되었던 추상적인 어휘 및 표현을 선정하여 재진술하는 작업을 해야
하고 둘째, 도덕과 성취기준 배당시간 기준 현황을 검토하며 내용 및 포괄성 측면에서 문제
의 소지가 있는 성취기준의 경우 재진술 방안을 함께 연구하여 성취기준 개발 과정에 직접적
으로 적용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monstrated the problem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assessment standards and
presented idea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since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with the outcome showed in achievement standards. Thus,
with this close relationship,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degree to which these
achievement standards were met. After review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thoroughly, their abstractive and inclusive statements were identified as the problems.
The idea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as follows. First,
abstractive statements should be selected from the former curriculum and restated
for the further curriculum. Second, the time allotted for every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examined, and a way to restate theses standards with inclusive statements
should be studied. Lastly, the result has to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