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신경과학에서의 사회적 고통 및 도덕성에 대한 이해와 도덕교육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54권
ㆍ저자명 : 박형빈
ㆍ저자명 : 박형빈
목차
Ⅰ. 서 론Ⅱ. 사회적 뇌에 대한 대인관계 영향
Ⅲ. 사회적 고통과 도덕성
Ⅳ. 사회신경과학과 도덕교육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근래 뇌 과학 연구들은 인간의 뇌가 사회적 기관이라는 인식으로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사회신경과학은 뇌신경과학의 시각 안에서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 삶을 규명하고자 하며 사
회적 뇌를 인간발달의 핵심으로 파악한다. 사회적 관계의 결핍 즉 사회적 거부와 사회적 상
실로 인한 사회적 고통은 실제 고통을 느끼게 만든다. 사회적 고통과 관련된 뇌의 영역 즉
전대상피질, 전측 섬엽 등의 영역은 도덕성 및 도덕성 발달과도 밀접하다. 뇌의 상태에서 볼
때 도덕성 발달에 있어 교육환경을 포함한 사회적 환경은 중요하게 작용한다.
뇌신경과학, 신경생물학, 교육학, 철학, 윤리학 등 학문들 간의 상호참조는 도덕교육의 방법
론을 논함에 있어 무엇을 고려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유의미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사회
신경과학의 논의에서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환대는 온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의 시작이 된다. 둘째, 도덕성 발달의 출발은 자기 자신에 대한 관심이다. 이것
이 점차 가족, 친족 그리고 자기 삶의 테두리 밖의 누군가로 도덕 범위의 확대가 일어난다.
셋째, 사회적 외상은 도덕성 발달에 큰 영향을 주기에 이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상실, 사회적 거부 등으로 야기된 사회적 고통은 신체적 고통 이상의
것을 유발하며 도덕성 형성 및 발달에 영향을 준다. 다섯째, 대인관계의 장애는 뇌의 상태와
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섯째, 사회적 자각, 사회적 고통, 타인의 마음 읽기, 감정이입 등과
관련된 뇌 부위는 이성적 추론을 하는 뇌 부위와 다소 다르다.
영어 초록
Recently neuroscience researches are changing to the social neuroscientificperspective, which recognizes a human brain as a social organ. Social Neuroscience is
trying to find human lives as social animals in a neuroscientific perspective, and
understands that the social brain is a core of human development. Human sociality is
due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which is socially structured.
Brain Areas such as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Anterio Insula which are the
part of the brain related to empathy to cause moral behavior are closely connected
with morality and moral development. There is our brain in the center of underlying
causes of social behaviors such as caring, consideration, empathy, and so on. Social
environment plays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r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tates. The social neuroscientific perspective suggests the considerations of
moral education as follows. First, moral education must consider human beings within
the relationship. Second, social rejection, exclusion, and loss cause social pain and
physical, mental and moral deficiency. Third, The brain region related to social pain
is somewhat different from it of raional reasoning. Fourth, compassionate hospitality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can be the start of moral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도덕윤리과교육"의 다른 논문
- 2016년 이후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25페이지
- 실험동물과 윤리: 윤리적 동물실험의 기초를 위하여22페이지
- 평가기준과의 관계 측면에서 본 도덕과 성취기준 개선 방향 논의28페이지
-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그 개발 과정에 대한 성찰34페이지
- 플라톤의 대화편 『프로타고라스』에 드러난 도덕교육의 ‘아포리아’에 관한 고찰 - ‘좋은 삶’을 위한..28페이지
- 동아시아인의 다층 정체성을 위한 윤리교육 시안22페이지
- 키에르케고어에서 자기인식(認識)과 『아이러니의 개념』의 윤리교육적 함의(含意)21페이지
- 근로윤리척도의 측정요소 분석과 교육적 함의24페이지
- 나바에츠 통합적 윤리교육모형을 활용한 도덕교육 개선 방향30페이지
- 초·중학교 도덕과의 덕목론적 생명애(愛) 교육 접근방안 연구 - 동양사상을 중심으로 -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