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54권
ㆍ저자명 : 장유정
ㆍ저자명 : 장유정
목차
Ⅰ. 서 론Ⅱ. 근로윤리척도별 측정요소 분석
Ⅲ. 근로윤리척도별 측정요소의 특성과 교육적 함의
Ⅳ.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국가 경쟁력의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근로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근로윤리는 직종, 직급, 심지어 성과 연령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근로윤리에 대한 상대적 인식은 자칫 보편윤리의 가능성마저 의심하게 하여 사
회통합의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은 근본적으로 근로윤리에 대한 모호한 이
해에서 비롯되며 명확한 의미 규정이 촉구된다. 본 연구는 근로윤리의 개념화를 위해 지금까
지 개발된 근로윤리척도의 측정요소를 분석하였다. 근로윤리는 바람직한 근로에 영향을 주는
가치관, 태도와 관련되는 내면적 요소와 생산적 근로를 위한 다양한 행동적 요소로 구체화된
다. 이와 같은 이해는 교육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영어 초록
As one of optio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industrial productivity, increasenational competitiveness by industrial technology innovation, interest in work ethics is
increasing. These days, work ethics can not be defined by standardized values and
attitudes and is perceived as relative by occupations, positions, and even gender and
age. Such perceptions, however, pose doubts about the universality of ethics and
jeopardize social integration. The relative perception of work ethic is fundamentally
attributable to a vague understanding of work ethic, calling forth explicit meaning of
work ethic.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the meaning of the work ethics by
analysing the work ethic scales. Work ethics is clearly divided into two factors,
intrinsic factors, such as the values, attitudes that influence desirable work behaviors,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productivity. These understandings have various
impacts on the field of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도덕윤리과교육"의 다른 논문
- 2016년 이후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25페이지
- 실험동물과 윤리: 윤리적 동물실험의 기초를 위하여22페이지
- 평가기준과의 관계 측면에서 본 도덕과 성취기준 개선 방향 논의28페이지
-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그 개발 과정에 대한 성찰34페이지
- 플라톤의 대화편 『프로타고라스』에 드러난 도덕교육의 ‘아포리아’에 관한 고찰 - ‘좋은 삶’을 위한..28페이지
- 동아시아인의 다층 정체성을 위한 윤리교육 시안22페이지
- 키에르케고어에서 자기인식(認識)과 『아이러니의 개념』의 윤리교육적 함의(含意)21페이지
- 사회신경과학에서의 사회적 고통 및 도덕성에 대한 이해와 도덕교육32페이지
- 나바에츠 통합적 윤리교육모형을 활용한 도덕교육 개선 방향30페이지
- 초·중학교 도덕과의 덕목론적 생명애(愛) 교육 접근방안 연구 - 동양사상을 중심으로 -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