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평가인증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사후유지관리를 위한 요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 3권 / 1호
ㆍ저자명 : 안숙경, 이성희
ㆍ저자명 : 안숙경, 이성희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과 인증 후 사후유지관리를 위한원장과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서 2011년 1월부터 2015년까지 7
월까지 평가인증을 경험한 기관의 원장과 교사 275명이다. 설문지는 2015년 7월 13일부터 배부하
고, 2015년 7월 31일까지 회수되었다. 회수된 300부의 설문지 중 답변이 불성실한 25부를 제외한
275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증 과정 조력에 대해서는
육아종합지원센타의 방문조력이 가장 도움이 되었고, 현장관찰 방법이 적절하며, 평가인증 후 보
육의 질 향상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평가인증 후 어린이집은 자체점검을 필요에 따라 수
시로 실시하여 평가인증의 준비과정에서 만들어진 시스템을 지속하고 있었다. 유지관리를 위해서
는 보육교사의 업무과다와 문서 및 서류작업, 장시간의 영․유아 보육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후유지관리를 위한 지원에 대해 원장은 어린이집의 유형에 맞는 실질적
인증지표로 다양하고 현실적인 지표의 보완을, 교사들은 현장의 이해를 돕는 유아교육 전문가의
상시조력과 보육활동을 도울 수 있는 보조교사의 지원을 요구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ncipal and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ursinghome evaluation certification and the support needs of the principals and teachers for maintenance
after certifi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5 principal and teachers who experienced
evaluation certification from January 2011 to July 2015 in D city.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from July 13, 2015 and collected until July 31, 2015. Among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275 were
excluded except for 25 cases where the answers were inadequ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ssistance of the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child care support was most
helpful for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process, and the field observation method was appropriate.
Second, after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the nursery school conducts its own check-ups as
needed to continue the system that was created during the preparation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lso, in order to maintain the nursery school, overtime work, document and paperwork showed
difficult problem to teachers in part. Third, principals answered that the support for maintenance
management should be supplemented with diverse and realistic indicators as a practical authentication
indicator for the typ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answered that the support should provide
assistance of specialis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child care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