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4.17 최종저작일 2016.12
33P 미리보기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61권
    · 저자명 : 김용태

    목차

    Ⅰ. 머리말
    Ⅱ. 호국불교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Ⅲ. 임진왜란의 의승군 활동: 충의와 계율의 충돌
    Ⅳ. 승군 전통의 계승과 승역의 관행화
    Ⅴ. 맺음말

    초록

    본고에서는 호국불교에 대한 연구사를 검토하고, 義僧軍 활동을 ‘忠義와 계율
    의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승군 전통의 계승과 僧役의 관행화
    문제를 살펴보았다. 의승군은 불교와 국가의 관계가 얼마나 밀착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비록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에 놓여있었지만 승
    군의 전쟁 참여는 살상을 금지하는 계율을 어긴 명백한 범계 행위였다. 또한 당시
    에 수행풍토의 약화와 승군 활동 후 환속하는 풍조를 낳기도 했다. 반면 나라를
    구하기 위해 계율을 저버리기까지 한 의승군의 충의의 공적은 유교사회에서 평가
    받았고 불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전란으로 승군의 활용가치가 입증됨에 따라 이후 南漢山城의 사례에서 보듯
    이 승군 전통의 계승과 승역의 관행화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국가는 國役 체계
    안에서 승려 노동력을 제도적으로 활용하였고, 그 대가로 승려의 자격과 활동이
    용인되고 불교 존립의 토대가 다져졌다. 그렇지만 이는 출세간을 추구하는 불교의
    고유한 지향을 전적으로 침해하는 것이기도 했다. 한국불교사에서 호국과 호법은
    수레의 두 바퀴와 같이 호국=호법의 틀로 전개되어왔지만, 조선시대 의승군과 승
    역은 호국에 중점이 두어진 특수한 사건이자 현상이었다. 이러한 ‘호국불교의 조
    선적 발현’은 한편으로는 불교계의 과도한 부담과 국가권력으로의 종속이라는 부
    정적 유산을 남기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ddresses the research history of state-protection
    Buddhism and examines the activities of monks’ militia in terms of the
    tension between Confucian loyalty and Buddhist precepts. The paper
    also investigates the transmission of monks’ militia tradition in Joseon
    and its governmental institutionalization. Monks’ militia in Joseon can
    serve as a case that shows how close Buddhism and the state can
    become. Although the Japanese Imjin Invasions of 1592-1598 threatened
    the very existence of the Joseon state, monks’ participation in warfare
    definitely violated one of the cardinal precepts of Buddhism, i.e.,
    not-killing. It also inevitably led to the seculariz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of the time: many monks abandoned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s and many of those who had served as monk soldiers returned
    to the secular life after the wars. On the flip side, the loyalty that
    monks’ militia strenuously demonstrated through their war activities was
    clearly appreciated by the Confucian society of Joseon and brought the
    change in the Confucian view of Buddhism.
    As the state realized the value of monks’ militia in national defense,
    it perpetuated the imposition of military and other state services on the Buddhist community, as shown in the case of Namhan Mountain
    Fortress (Namhansan seong 南漢山城), which enabled the transmission
    of the monks’ militia tradition throughout the rest of Joseon. The state
    used the labor power of monks within the system of the state tax,
    recognizing the social status and activities of monks and thereby
    providing a minimal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m. However, this
    action deflected the unique supra-mundane orientation of Buddhism.
    State-protection and dharma-protection had been carried out in Korean
    history in the form of the equality of the two as if they had been the
    two wheels of a cart. However, monks’ militia and state services
    (seungyeok) in Joseon were anomalous cases in which state-protection
    was overly emphasized. In the end, Joseon expression of stateprotection
    Buddhism left negative effects, causing excessive financial
    burden for the Joseon Buddhist community and its subjugation to the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