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술치료연구 / 24권 / 1호
ㆍ저자명 : 최선남, 장현정
ㆍ저자명 : 최선남, 장현정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미술치료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2003년부터 2016년 7월까지 한국학술정보(RISS)에 검색된 학위논문과 등재 및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어 있는 학술지를 수집하였다. 학교폭력 미술치료 연구 총
24편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연구대상 특성, 중재환경, 연구방법, 치료기법과 매체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 특성은 주로 중학생과 초등학생이었으며, 학교폭력의 역할유형으로 구분해보면 피해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환경을 살펴보면 치료기간은 2개월부터 10개월 이상까지 다양하였고 시행회기는
주 1-2회, 치료회기는 11-15회, 치료시간은 40-60분, 치료형태는 집단치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
법은 사례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편당 측정도구는 2개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측정도구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투사검사, 정서 및 행동검사, 자아관련 검사의 순서였으며, 개별검사로는 HTP, KSD, SES 검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료기법과 매체 사용을 살펴보면 연령이 높아질수록 2차원 건식 매체가 더 많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었고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회기에서 습식 매체와 3차원 매체 사용이 증가하는 경향도 나
타났다. 치료기법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과제화와 과제조형, 자유화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교폭력 미술치료를 기획하고 있는 전문가들에게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영어 초록
We conducted this study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in arts therapy for the school violence in Korea.To do so, we investigated theses listed on, the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on and the academic journals
selected as to-be-registered on RISS. We selected and analyzed 24 studies on arts therapy for the school
violence. Subjects mostly compris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most studies chose
victims of violence as the subjects. Intervention environments differed; the term of therapy varied from two
months to ten months. In most of the studies, one to two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per week. 11-15
sessions were conducted in total, most sessions lasted 40-60 minutes, and group therapy was most common.
Most studies were case studies that used two measurement tools. The most common measurement tools
were the protective technique test, emotion and behavior test, and self-test. The most common self-tests
were HTP, KSD and SES. The art media and techniques also varied: 2D dry media were more frequently
used with higher-aged subjects. In the sessions for the victims, 3D wet media were used more frequently.
The techniques were diverse, however, the most common were task setting, task modeling and
liberalization. We expect this informaion to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the experts specializing in planning arts therapy for the school violence.
참고 자료
없음"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
- 학대피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생애사 방법론으로써의 미술치료22페이지
-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23페이지
- 미술치료가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불안과 소양감 및 병변의 중증도에 미치는 효과23페이지
- 대학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및 우울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PITR)’그림 반응특성 연구27페이지
- Bridge Drawing검사에 나타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 -20페이지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19페이지
- 학교폭력 감소와 예방을 위한 미술프로그램 개발20페이지
- LMT의 PDI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21페이지
- 미술치료의 치료요인 범주화 연구 - 수련감독 미술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25페이지
- 한국 미술치료사의 현황과 전망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