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회복을 위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술치료연구 / 23권 / 6호
ㆍ저자명 : 이정원, 이근매
ㆍ저자명 : 이정원, 이근매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회복에 미치는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S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211명에게 자아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여 그 중 자아탄력성 점수가 190점 이하이면서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구성은 동일한 어린이집 자모를 8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어린이집 3곳에 의뢰하여 4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검증은 한국형 탄력성 검사의 집단별 사후차이를 대응비교
T-test하고, 나무그림검사와 콜라주 작품에 나타난 사전과 사후의 변화를 χ²검증을 통해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그 하위영역의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나무그림검사의 일부
항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입증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콜라주 작품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콜라
주 기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자아탄력성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
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llage group art therapy on resilience forrecovering mothers after birth. I chose 211 mothers who have children attending several kindergarten
schools in S city in Korea and conducted a test of resilience on them. I then narrowed the number of
mothers by selecting those who marked their resilience point below 190. From this pool, the mothers who
agreed to the study were formed into two parts per school: a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eight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the same kindergarten. In total, the study consistsed of
48 mothers in six groups.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were conducted by comparing the mothers’ collages
before and after the study, through a Korean resilience quotient developed by Kim Juhwan(2011), and
quantitatively through the tree drawing test with its t-test and χ².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collage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boosting the resilience of mothers given recent
birth and its sub-factors. Secondly, the collage program proves to cause positive change in some parts in
the tree drawing. Third, the collage group art therapy results in a positive change in drawing. In
conclusion, research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the collage method as psychological support for new
mothers, adding to the available base of research on effective programs to recover resilience.
참고 자료
없음"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
- 초보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26페이지
- 감사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22페이지
- 조현병 환자의 정신증상완화를 위한 만다라 명상프로그램의 적용20페이지
- ASD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만다라 미술치료 사례: 담론 행위 분석을 중심으로19페이지
-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23페이지
- 정서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조절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27페이지
- 점토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소근육기능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22페이지
- 미술치료에서 미술을 기반으로 한 슈퍼비전의 중요성과 실제 적용에 대한 고찰18페이지
- 미술치료사의 경력이 역전이 관리능력과 역전이 활용에 미치는 영향 - 내적상태인식의 중재효과를 중심으..21페이지
- 대학생의 우울과 발테그 그림검사(WZT)의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