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의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이경화
외(2014)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영역 핵심역량 함양 수업모델을 중학교 교실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한 후, 사회교과 시간에 적용하여 중학생의 핵심역량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로 핵심역량 체크리스트, 수업목표 관련 사회교과 기반 핵심
역량 평가, 창의적 리더십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본 연구에서 재구성한 사회과 핵
심역량 수업모델을 적용하였다. 사전검사 결과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각 요인에서 동질
성이 확보되었으므로, 실험실시 후의 사후검사 점수를 사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을 뿐
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실험 후 향상 정도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으므로, 사후검사와 사전검
사 평균점수 간의 차이를 t-test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핵심역량에 있어서는 공통, 세부
및 전체 핵심역량에서 향상이 나타났으며, 수업목표 관련 사회교과 기반 역량에서도 프로그램
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창의적 리더십에 있어서는 사회적 리더십을 제외한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와 개인적 리더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적용한
핵심역량 함양 수업모델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세계적으로 관심을 기울
이고 있는 역량중심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신뢰롭고 타당하게 개발된 핵심역량 함양 수업
모델이 잘 활용되어야 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