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 내러티브로서의 수업비평 - 초등 교사들의 사회과 역사 영역 수업비평문을 중심으로 -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7.04.17
- 최종 저작일
- 2016.01
- 2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6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23권 / 4호
ㆍ저자명 : 이승연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논의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사회과 교사는 교과 특성상 사회 현상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기르는 방법으로 교사의 카운터 내러티브 작성이 있다. 카운터 내러티브는 주류 이데올로기의 표현
형인 마스터 내러티브에 대항하는 이데올로기로서 사회에 대한 대안적이고도 저항적인 이데올로기를 포
함한다. 수업비평은 이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수업이 사회와 관계 짓는 양상을 탐색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카운터 내러티브의 한 양식이다. 이 아이디어의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업비평 응모 전에 출
품된 15개의 사회과 중 역사수업비평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Riessman(2008)의 담화/수행적 내러
티브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로는 Fairclough(1992)가 제안한 담화 양식(discourse
practice)의 세 가지 차원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교사들은 교육 관련 학계 및 교사들 사이에서
옳다고 여겨지는 마스터 내러티브에 대하여는 도전하고 있었으나 사회 전체에서 옳은 것으로 간주되는 마스터 내러티브에 대하여는 도전하지 않는 편이었다.
영어 초록
Social studies teachers are expected to possess the ability to interpret society from critical
perspectives. As a method to develop that ability, the construction of counternarratives has been
recommended. Counternarratives usually include alternative and resistant ideologies of
masternarratives, which are phenotypes of the majorities’ ideologies. Class critique may be a
counternarrative becuase teachers can reflect the connections between teachings and the culture of
their broader society. However, this possibility is suggested without evidence. In order to explore
that possibility, 15 class critiques submitted to a teaching critique competition were analyzed. For
this analysis, Fairclough’s three-dimensional discourse practice was employed, and Riessman’s
dialogic/performance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 and an analytic method for
this study,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at analysis, it is found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tend to
challenge masternarratives in classrooms, but they hardly ever demonstrate resistant ideas to
masternarratives in broader society.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