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아동학대 및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학교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 중복피해집단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학교사회복지 / 36권
ㆍ저자명 : 김재엽, 이현, 장건호
ㆍ저자명 : 김재엽, 이현, 장건호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학교폭력경험의 가해의 주요 원인인 아동학대 피해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중복폭력피해 경험이 학교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교사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학교폭력 가
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서울시와 인천시, 경기
도)에서 각 권역별로 유의표집한 중학생 및 고등학생 1,601명이었다. 각 변수의 실태파악을 위해 빈도분석
을 실시하고 피해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ANCOVA 분석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를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중 34.4%
의 청소년이 학교폭력 가해를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 중 아동학대 피해 집단이
30.5%, 학교폭력 피해 집단이 11.1%, 중복피해집단이 24.0%로 나타났으며 이들 가운데 중복피해집단이 학
교폭력 가해평균이 가장 높고 교사지지는 가장 낮았다. 셋째, 중복피해집단의 폭력피해정도는 학교폭력가해
에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에서 교사지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통해 아동학대 및 학교폭력 피해의 중복 피해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이 학교폭력 가해로 이어지
는 경로를 차단하고자 폭력피해 청소년들에 대한 조기선별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를 제언하였다. 또
한 조절효과를 보인 교사지지의 수준과 질을 높이기 위한 가정폭력과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 증진 보수교육
및 지지적 상담교육의 제공, 학교사회복지사와의 유기적인 연계를 정책적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examine the association with child abuse and bulling victimization andbullying perpetration among adolescents, 2)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within polyvictimized
group, and 3) provide the implication to reduce bullying perpetration.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survey for a total 1,601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COVA analysis, and multipleregression
with moderator. The main findings are that 1) 34.4% of subjects perpetrated bullying in past
year, 2) 24% of poly-victimized group was identified and showed the highest mean of bullying
perpetration and lowest mean of teacher support among the groups, and 3) the level of poly-victimization
was associated with bullying perpetration, and the teacher support was verified as moderator within
poly-victimized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active selective approaches to identify and intervene
abused and victimized adolescents are need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ces in bullying
perpetrator groups by school social worker. Plus, the additive educations and consultations to improve the
teacher support should be supported to reduce bullying perpet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