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중심 음악치료활동이 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 / 12권 / 4호
ㆍ저자명 : 이미경, 강경선
ㆍ저자명 : 이미경, 강경선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대전시 D노인 요양센터 내
거주하는 인지기능 점수가 10점 이상에서 23점 이하의 점수를 받은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21명의 대상자들 중 10명은 실험집단으로 11명은 통제집단으로 무
선배치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주 2회, 50분, 총 16회기의 음악치료에 참여하였다. 마인드맵
을 활용한 노래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
기 위해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Korean version Mini-Mental State Exam:
MMSE-K) 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여 음악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인지기능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기능의 5개의 하위영역 중 지남력과 기억력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의집중 및 계산능력은 증가하는 경향이, 언어능력은
보존, 유지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해 및 판단능력 영역은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
지 않았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using songs and mind maps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a nursing h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residents of the D senior care center nursing home in Daejeon, who were
over 65 years old and whose cognitive function test scored between 10 and
23. Of the 21 elderly members with dementia chosen, 10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11 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y program for 50-minute
twice a week, 16 sessions in total.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his
music therapy program, pre- and post- measurements were applied by using
the MMSE-K scale, which enabled analysis of any possible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sides understanding and judgment, both of which were elements of the
five cognitive function categories, the other categories also showed positive
results. For reality orientation and memory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attention span and calculation,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anguage areas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no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