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체험을 강조한 유아 통합문화예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ㆍ수록지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 / 15권 / 4호
ㆍ저자명 : 이은영, 고영미, 김은영
ㆍ저자명 : 이은영, 고영미, 김은영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미적체험을 강조한 유아 통합문화예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전체 및 척도별 창의성과 영역별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 C시에 위치한 A어린
이집과 B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3명(남 12명, 여 11명)이다. A어린이집의 만 5세 1학급 유아 11명
을 실험집단으로, B어린이집의 만 5세 1학급 12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전경원
(1999)이 제작한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본 연구는 2015년 10월 1일부터 12월 16
일까지 11주간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고영미 등(2016)이 개
발한 미적체험을 강조한 유아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4개 주제와 연계한 통합문화예
술활동을 총 16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
과, 첫째, 유아의 창의성 전체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척도별 창의성에서는 유창성과 상상력에서, 영역별 창의성에서는 신체 창의성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미적체험을 강조한 유아 통합문화예술활동은 유아
의 창의성 발달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유아의 유창성과 상상력 증진 및 신체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grated arts activities focus on aestheticexperiences o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5-year-old young
children(11 children for experimental group and 12 children for comparative group) at two child care
facilities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16 integrated arts activities
focus on aesthetic experiences and comparative group was given 16 arts activities for 8 weeks.
Children’s creativity was measured by Jeon(1999)’s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using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grated arts activities focused on aesthetic experiences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5-year-old young children’s creativity: fluency, imagination, and physical
creativity. In conclusion, integrated arts activities focus on aesthetic experiences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to increase children’s creativity.
참고 자료
없음"어린이미디어연구"의 다른 논문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기분화와 부모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22페이지
- 유아과학교육에서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의 의미고찰25페이지
- 유아인성교육과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연령 간 교류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24페이지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23페이지
-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25페이지
- 교육실습을 위한 U-멘토링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22페이지
- 유아의 또래 유능성, 자기조절 및 놀이유형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17페이지
- 유아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27페이지
- 뇌 기반 유아디자인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에 대한 분석26페이지
- 대집단 그림책 감상 활동에서 나타난 3-5세 유아의 연령별 언어반응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