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및 과학·기술 교과 간 융복합 교육의 효과: 과학·기술에서 학생 학습성과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방법연구 / 26권 / 1호
ㆍ저자명 : 박주호, 현은령
ㆍ저자명 : 박주호, 현은령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 목적은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교육 유형으로서 미술 및 과학·기술 교과 간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준 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통해 초등학교 6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해당 반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프로그램 효과성은 참여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학생 학습성과 인식을 사전 및 사후에 측정하고, 각 하위 요인 별 그 인식 변화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효성 검증을 통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인근 주변 주거 환경’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직접 탐색, 주변 환경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미술작품으로 그 개선점을 디자인하게 하는 ‘경험 및 활동’ 중심 수업내용 이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프로그램 시행 전 및 후 측정 점수에 대한 t검증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실험집단 학생은 과학·기술에서 학습성과 인식의 모든 하위요인(과학·기술에 대한 흥미, 과학·기술 교과에 학습동기, 과학·기술 분야 진로동기, 과학·기술의 사회적 유용성, 과학·기술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α=.05수준)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1학년 참여 학생들의 경우, 과학·기술에 학습 성과 인식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 적용하고 공분산분석(ANCOV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과학·기술 교과 학습동기 요인은 α=.01수준에서, 과학·기술의 흥미 요인은 α=.1수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s of integrating art with science andtechnology as a type of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in the level of 6th grade and 10th grade students by using
Quasi-experimental desig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with adminstration of
measuring pretest-posttest on each construct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cused on involving a participative
and experimental-based instruction which requires to make inquiries into living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neighborhood for participating students by using smart devices. The learning foci of the program
specifically were on finding the problems regarding the living environments and designing an art product
as a way to solve the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05 between the pretest-posttest scores to the experimental group on all sub-constructs of 6th grade
student’s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case of 10th grade students,
analysis of covariance in which involved the pretest score as a covaria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analysis of covariance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ha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e constructs of both ‘motivation in learning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